24년 전인 1996년에 인도네시아 람뿡에서 한국으로 일하러 온 근로자를 동네에서 만난 적이 있다. 다른 친구들도 소개받고 이런저런 얘기도 하면서 이들이 어떤 사정으로 여기까지 일하러 오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엄밀하게 말하면 근로자는 아니었다. 당시에 있던 산업연수생 제도를 활용하여 한국으로 왔으니 연수생이라 해야 맞다. 말이 연수생이지 실제로는 근로자인데 기본급으로 한 달에 30만원 정도를 받았고, 잔업이나 특근을 하면 50만원 정도까지도 벌 수 있었던 모양이다. 24년 전이었으니 이것도 꽤 괜찮은 수입이라 하겠다.

하루는 이 람뿡 친구가 자기가 산업연수생으로 오기 전에 4주 짜리 군사 훈련 비슷한 걸 받았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사진을 보여주는데 과연 이 친구와 다른 친구들이 국방색 상의와 얼룩무늬 군복같은 걸 입고 뛰는 사진, 짧은 머리를 하고 찍은 사진들이 있었다. 영락없는 군인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당시는 권위주의적인 수하르토 정권하(下)였으니 그럴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까 산업연수생 후보생을 뽑아서 타국의 힘든 생활을 견딜 수 있도록 체력과 정신력 함양 교육까지 시켜서 보냈다는 얘기이다.

연수생 중에는 대졸자도 많았고,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던 사람도 있었다. 개중에는 연수생 신분을 버리고 불법으로 한국에 체류하며 일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렇게 하면 월 백만원 이상의 수입을 올릴 수도 있다고 들었다. 람뿡에서 온 이 인도네시아 친구는 한국에 5년간 있다가 돌아갔다. 한국에서 모은 돈으로 고향에 조그마한 점포를 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나라 밖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 인력을 TKI(Tenaga Kerja Indonesia, 인도네시아 근로인력) 라고 한다. 외국에서 일하는 사람이 많다 보니 사건사고도 많고 언론에 관련된 기사도 많이 나온다. 통계청(BPS)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해외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 근로자는 27만 6천명 가량이라고 한다. 이 중 69%가 여성이다. 나라별로는 말레이시아와 대만이 약 8만명으로 가장 많고 홍콩이 7만명 가량으로 뒤를 잇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공식적으로 6천명 가량이 와 있다.

그런데 통계청에서 발표한 27만명은 모두 체류와 근로 허가를 포함하여 공식적인 서류를 가지고 외국에 나가는 인력이다. 비공식적으로는 얼마가 될지 정확한 통계는 없는 모양이다. 경제학자이면서 정치인인 파이잘 바스리는 작년에 해외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인이 3백 6십만명 이상이며 이들이 2018년에만도 연간 약 110억 달러 가량을 송금했다고 주장하였다. 공식 통계로 잡히는 27만명과는 큰 차이가 있다.

말레이시아와 홍콩, 대만, 중동 같은 곳에는 가정부로 일하는 인도네시아 여성들이 많다. 또, 말레이시아는 보르네오섬의 국경을 통해 인도네시아에서 육로로 갈 수 있고 팜농장이 많아 인도네시아인들이 많이 일한다. 팜농장에서 일하는 것은 너무 고된 일이라서 말레이시아 내국인으로 필요 인력을 충당하기가 어려워 인도네시아 출신 노동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약 백만명 이상의 인도네시아인들이 말레이시아에서 가정부나 팜농장 일꾼 등으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인도네시아 톡톡] 나라 밖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 사람들, TKI 이야기
한국에 와 있는 인도네시아 근로자들은 옛날에는 공장에서 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요즘에는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하는 경우도 많다. 인도네시아에서 본인이 한국에서 일한 적이 있다거나 친척이나 친구가 한국에서 일하고 있다고 자신을 소개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배를 탔다는 사람들도 있었다. 대화 중에 평택이나 군산 같은 항구 이름이 나오기도 해서 신기했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인도네시아 최저임금은 한화 약 20~30만원 정도이다. 이것도 충분하지 않겠지만 이만큼이라도 주는 안정된 일자리도 부족하다. 가족과 떨어져 외국에서 일을 하는 것이 힘들고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국내상황이 이러하니 몇 년 고생하면 목돈을 모아올 수 있다는 생각에 해외에서 일자리를 찾는 것이다. 들어보면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한국에 가서 일을 하면 한달에 2천만 루피아(한화 약 170만원) 정도를 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신문에도 그런 기사가 실린다. 한국에 오고 싶어하는 대기자도 많다. 외국으로 나가 일하기 위해서는 중개업체를 통하는 경우가 많은데 필요경비와 수수료조로 상당한 비용을 지출해야 하고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받는 일도 흔하다.

그렇지만 막상 나가보면 항상 장및빛 미래가 기다리는 것은 아니다. 약속한 임금을 받지 못하거나 아예 체불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고, 부당한 처우도 흔하다. 많은 근로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더라도 이미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였기 때문에 어찌하지 못하고 부당한 대우를 감수한다.
[인도네시아 톡톡] 나라 밖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 사람들, TKI 이야기
최근에만 해도 중국 어선에서 일하던 인도네시아 출신 어부들이 임금도 제대로 못 받고, 잠도 잘 못자면서, 제대로 먹지도 마시지도 못한 상태로 일을 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큰 공분을 산 일이 있었다. 조업기간 중 사망한 어부들은 바다에 수장되기도 했다 한다. 가정부로 일하는 여성근로자들이 고용주의 폭력에 노출되는 경우도 자주 보도된다. 2010년에는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가정부로 일하던 인도네시아 여성이 임금체불과 성희롱 등을 이유로 고용주의 부친을 살해하고 금품을 챙겨 도주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여성은 사형을 선고받았는데, 인도네시아 정부와 시민단체의 거듭된 감형 요구에도 2018년 사형이 집행되었다.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인도네시아 내 국민감정은 크게 들끓어 오른다.

최근에는 말레이시아에서 일하던 인도네시아 근로자들이 코로나 19 창궐로 인한 이동제한으로 일자리도 수입도 없어 문자 그대로 굶주리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하였다. 귀국도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어떤 근로자는 쥐를 잡아서 구워 먹으며 버텼다고 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해외에 있는 자국 근로인력이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필요한 조력을 한다던지 해당 국가에 항의를 한다던지 심한 경우 공식 인력송출을 중단한다던지  하는 방법으로 대응하지만 역부족이다. 일단 비공식 근로인력을 포함하여 3백만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는 인원을 파악하는 것도 어렵고, 가정(가정부)이나 농장(일꾼), 바다 위(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다 파악하기도 쉽지 않다. 인도네시아가 약소국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강대국이라고 하기도 어려워 외교적 채널을 통한 의사전달이 항상 먹히는 것도 아니다. 물론 국가가 국민을 보호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 것인가에 대한 불만도 항상 터져 나온다.

지방에 사는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아는 사람들의 소개나 권유가 아니면 자카르타나 지방 대도시로 나오는 것도 어려워한다. 그런 사람들이 거액의 비용을 지불하고 가족과 떨어져 일을 하기 위해 해외에 몇 년간 나가겠다는 결정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인도네시아에서 괜찮은 보수를 주는 안정된 일자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고 있으니 생기는 현상이다. 그렇게라도 새로운 기회를 찾아서 해외로 나가는 사람들, 인도네시아 근로인력 TKI의 행렬은 언제까지 이어질까?

* 위 내용은 필자 소속기관의 견해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양동철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 한국수출입은행 (crosus@koreaexi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