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팅 궤도는 포물선…배꼽 스트로크 연습하면 感 와요"
골프는 곡선 회전운동이다. 그런데도 직선 전진운동으로 하려는 골퍼가 많다. 몸이 좌우로 크게 움직이는 ‘스웨이’가 대표적인 사례다. 힘을 많이 쓰지만 전달되는 효율이 낮아 비거리가 준다.

퍼팅도 마찬가지다. 한경골프최고위과정 강사인 신나송 프로는 “퍼팅 스트로크도 드라이버, 아이언 샷과 원리가 똑같은 미니 스윙이라 곡선운동을 한다”고 말했다. 몸통이 비스듬히 서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당수 골퍼는 타깃과 공을 연결한 선과 평행한 ‘직선 스트로크’로 공을 홀로 보내려고 해 문제를 자주 일으킨다. 퍼터 페이스가 열리는 게 더 잦지만 갑자기 닫혀버리는 경우도 나온다. 몸의 신체를 머리로 통제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 프로는 “공을 홀컵 쪽으로 똑바로 보내려는 의지가 강하면 손가락과 팔, 어깨, 몸통 등을 미세하게 쓰게 되고, 결국 페이스가 열리거나 닫히는 불상사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포물선 스트로크는 백스트로크에서 퍼터 페이스가 살짝 열리는 게 정상이다. 임팩트 때는 스트로크 궤도와 직각이 되고, 이후 폴로스루에서는 살짝 닫힌다. 물론 백스트로크는 포물선으로 하고 임팩트부터 폴로스루를 직선으로 밀어주는 프로도 많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오랜 훈련을 통해 만들어낸 맞춤형 퍼팅이다. 직선으로 빼서 직선으로 밀어주는 프로들도 있다. 훈련 시간이 부족한 아마추어가 따라하기엔 까다로운 고난도 기술이다.

신 프로는 대신 배꼽 퍼팅 스트로크 연습을 권했다. 그립 끝을 배꼽 또는 명치 언저리에 대고(사진 ①) 제자리에서 좌우로 몸통을 회전해 스트로크를 해보는 연습(사진 ②)이다. 지금은 금지돼 정식 투어 대회에서는 사라진 ‘벨리 퍼팅’처럼 해보는 것이다. 서서 해도 되고 실제 퍼트를 하듯 허리를 굽혀서 해도 된다. 단 머리를 움직여서는 안 된다.

신 프로는 “작은 스트로크, 큰 스트로크를 하면서 스트로크가 포물선 형태로 그려지는 걸 눈과 몸으로 확인하면 퍼터 페이스가 열리고 닫히는 걸 두려워하지 않게 되고 자신만의 스트로크 궤도를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