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항공·우주, 첨단소재 등 5개 핵심 사업 분야에서 미래 인재를 집중적으로 키운다. 또 중앙부처가 쥐고 있던 대학재정지원사업 예산 중 50%를 지방정부로 이관하기로 했다.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 대학이 지역 특성에 맞춘 인재를 기르려면 지역 사정을 잘 아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는 취지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일 경북 구미시 금오공대에서 열린 ‘제1차 인재양성전략회의’에 참석해 이 같은 내용의 부처 통합 방안을 의장인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윤 대통령은 “국가 발전의 동력은 과학기술이며 인재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중앙정부가 대학 지원 예산과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해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7~8월 반도체·디지털 인재양성전략 때부터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강조해왔다. 이날 회의에선 정부가 핵심적으로 육성할 5대 분야를 선정했다. 앞글자를 따 ‘ABCDE’로, ‘항공·우주미래모빌리티’ ‘바이오헬스’ ‘첨단부품·소재’ ‘디지털’ ‘환경·에너지’다. 이 분야에서 인재를 기르기 위해 국가인재양성 기본법, 직업교육법, 인재데이터관리법까지 ‘인재양성 3법’ 제정을 추진한다.

중앙부처의 권한은 대폭 지자체와 대학에 넘긴다.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 체계(라이즈·RISE)’다. 이주호 부총리는 이날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선호 현상으로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대학을 살리기 위해선 재정지원 체계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2025년부터는 대학재정지원사업의 50%를 교육부에서 지자체로 넘긴다. 교육부 예산에서만 2조원, 타 부처 사업의 5000억원까지 합치면 한 해에 총 2조5000억원이 중앙부처에서 시·도지사에게로 넘어간다. 당장 올해부터 2년간 약 5개 시범지역을 선정해 운영한다.

대학 한 곳당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 대학’도 2027년까지 총 30곳을 비수도권에서 뽑는다. 교육과정, 구조개혁 등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약속한 대학이 선발 대상이다.

구미=최예린/좌동욱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