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39%→45% '껑충'
일반고 출신과 비슷한 비율로
성별로는 남학생 1.2%P 늘어
올해 서울대 수시모집 합격자 중 일반고 출신은 줄고 특수목적고(특목고)·자율형사립고(자사고) 출신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앞으로 고등학교 내신을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하면 상위권 대학의 특목고·자사고 출신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종로학원 등 입시업계에 따르면 2023학년도 수시모집 전체 합격생 2055명 중 일반고 출신 비율은 46.2%로, 2020학년도 50.0%, 2021학년도 48.3%, 2022학년도 46.7%에 이어 4년 연속 줄었다. 반면 특목고·자사고 출신 비율은 2021학년도 39.9%에서 올해 45.4%로 상승했다.
전국 2373개 고교 중 약 10%를 차지하는 특목고가 일반고와 비슷하게 서울대 합격자를 배출한 것이다.
학교 유형별로 살펴보면 영재고(14.5%) 외국어고(9.5%) 국제고(2.7%) 자사고(13.0%) 등은 전년 대비 각각 1.4%포인트, 0.3%포인트, 0.7%포인트, 0.9%포인트 증가했다. 과학고(5.7%) 예술·체육고(4.5%) 자율형공립고(3.1%) 특성화고(0.2%) 등은 전년 대비 각각 0.4%포인트, 1.8%포인트, 0.6%포인트, 0.1%포인트 감소했다.
영재고 출신은 2020학년도 10.4%에서 2021학년도 12.0%, 2022학년도 13.1%, 2023학년도 14.5%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외국어고 출신도 2014학년도 9.3% 이후 2023학년도 9.5%가 가장 높은 수치다.
특목고·자사고 비율이 높아진 것은 서울대를 비롯한 서울 주요 대학이 정시 비율을 40% 이상으로 끌어올리면서 특목고·자사고 진학을 선택한 성적 상위권 학생이 늘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2023학년도 전국 주요 19개 자사고 경쟁률은 최근 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출신 지역별로는 서울(601명, 29.4%)과 광역시(517명, 25.3%)는 전년 대비 각각 2.0%포인트, 1.4%포인트 감소했지만 시(800명, 39.2%)와 군(125명, 6.1%)은 전년 대비 각각 2.1%포인트, 1.4%포인트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자 1169명(56.9%), 여자 886명(43.1%)으로 전년도 남자 1331명(55.7%), 여자 1060명(44.3%)과 비교해 남자 비율이 1.2%포인트 늘었다.
서울대가 전 국민 대상 인공지능(AI) 무료 강의를 선보인다. 서울대 AI연구원은 수개월간 준비해 온 ‘모두를 위한 AI 강의’ 시리즈의 첫 강의를 지난 20일 시작했다.AI 강연에는 서울대 AI연구원 소속 27명의 교수진이 참여해 인공지능의 원리와 딥러닝 등 AI 핵심 개념과 자율주행, 금융, 패션 등 다양한 분야 AI 활용에 관해 강의한다. 자연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등의 전공 교수진이 나선다.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의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를 시작으로 윤성로 교수의 ‘딥러닝’, 이원종 교수의 ‘표현학습’ 등을 포함한 인공지능의 학습 원리와 핵심 개념을 설명하는 강의를 제공한다.이어 이교구 교수의 ‘청각 인공지능’, 이상구 교수의 ‘인공지능 추천기술’, 황승원 교수의 ‘검색과 정보’ 등 인공지능을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는 강의를 공개할 예정이다.강연은 네이버TV ‘서울대의 모두를 위한 AI 강의’ 채널을 통해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에 공개된다.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KT클라우드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스캐터랩, 서울대 등에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 종량제 서비스 '하이퍼스케일(초대규모) 인공지능(AI) 컴퓨팅'을 제공한다고 20일 밝혔다.이 사업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지난해부터 인공지능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고성능 컴퓨팅 지원사업'의 하나로 이뤄졌다.하이퍼스케일 인공지능 컴퓨팅을 사용하고자 하는 AI 전문기업이나 개발자는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GPU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한 뒤 반납하면 된다.남충범 KT클라우드 클라우드본부장은 "앞으로 GPU 인프라를 확충하고 대기업, 스타트업, 연구기관 등과 협업해 대한민국 초거대 인공지능 산업 성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올해 연세대와 고려대 수시모집에 합격한 2000여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학 계열이나 서울대에 복수 합격한 경우 때문으로 풀이된다.20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연세대와 고려대 1차 추가 합격자는 총 2068명으로 집계됐다. 연세대의 경우 지난해(779명)에 비해 48명이 증가한 827명이었고, 고려대는 지난해(1316명)에 비해 75명이 감소한 1241명이었다. 두 대학을 모두 합쳐 2068명이 등록을 포기했다는 의미다.두 대학 모두 자연계열 추가 합격자가 인문계열에 비해 더 많았다. 연세대는 자연 465명, 인문 350명이었고 고려대는 자연 654명, 인문 574명이었다. 특히 연세대 의대는 66명 모집에 26명(39.4%), 고려대 의대는 81명 모집에 42명(51.9%)이 등록을 포기했다.그 외에도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85.4%(35명)·전기전자공학부 64.3%(72명), 고려대 컴퓨터학과 74.6%(53명)·기계공학부 67.1%(55명)의 수시 합격자가 각각 등록을 하지 않았다.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연세대와 고려대 자연계에서 추가 합격자가 많이 발생한 것은 의약학 계열이나 서울대에 복수 합격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임 대표는 올해 수시 선발인원 자체가 감소했고, 수시 추가합격 인원과 수시 이월 인원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서울권 소재 수시 선발인원이 4만6287명으로 지난해(4만7556명)보다 1269명(2.7%)이 줄었다.지난해(2022학년도) 서울권 수시모집 선발인원은 총 4만7556명으로 직전년도(2021학년도) 선발인원(5만1542명)보다 3986명 감소했고, 수시 이월인원도 1800명으로 직전년도(3088명)보다 1288명가량 줄어든 바 있다.임 대표는 "수시 미선발로 인한 수시 이월인원도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정시 선발인원도 많이 늘어나지 않을 전망"이라며 "현재 수시 예비 합격자 번호를 받은 수험생도 지난해 예비 순서보다 더 많이 늘어나지 않을 것이다. 정시 경쟁률이 치열해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현주 한경닷컴 기자 wondering_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