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R&D 혁신방안 회의…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부활

국가 연구개발(R&D) 혁신을 위해 기초연구비가 2022년까지 2배로 늘어난다.

미세먼지와 환경 등 국민생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예산도 대폭 늘어 내년부터 1조원 이상으로 확대된다.
당정 "기초연구비 2022년까지 2배로… 미세먼지 R&D 예산 확대"
당정은 26일 오전 국회에서 '국가 연구개발 혁신방안' 회의를 하고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은 회의 후 브리핑에서 "연구자 주도의 창의적인 R&D와 파괴적인 혁신을 일으키는 도전적인 R&D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며 "연구자 주도 자유공모형 기초연구비를 2배 확대해 2022년까지 2조5천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2017년도의 기초연구비는 1조2천억원 수준이었다.

미세먼지·환경 R&D 예산도 대폭 늘어난다.

김 정책위의장은 "미세먼지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예산을 대폭 확대하는 등 국민생활문제 해결을 위한 R&D 투자를 내년부터 1조원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미세먼지와 환경 문제의 연구개발 예산은 올해 각각 744억원, 232억원에서 내년엔 1천83억원, 501억원으로 늘어난다.
당정 "기초연구비 2022년까지 2배로… 미세먼지 R&D 예산 확대"
당정은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복원하고 실무조정회의도 함께 설치하기로 했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노무현 정부 당시 가동됐다가 폐지된 바 있다.

김 정책위의장은 "장관회의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 교육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이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지역수요 맞춤형 R&D 지원사업도 추진된다.

지방정부가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사업을 주도적으로 기획하면 중앙정부가 역매칭 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당정은 아울러 각 부처가 각각 적용하는 R&D 규정(112개)을 정비해 통일된 규정 적용에 힘쓰고, 부처별로 분산된 연구관리전문기관을 1부처 1기관 통합이라는 원칙 아래 정비하기로 했다.

또 학생인건비 통합관리 주체를 연구책임자(교수)에서 연구기관(산학협력단 또는 단과대학, 학과)으로 전환하고, 박사 후 연구원 및 전임연구원의 근로계약을 사실상 의무화하기로 당정은 의견을 모았다.

지역선도연구센터 지원, 고위험 혁신형 R&D 지원체계 마련, PBS(연구과제중심제도) 개편, 연구장비산업 육성 및 실험실 창업 장려 등도 추진된다.

이날 논의된 R&D 혁신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7월 중순(7월 16일 예정)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하는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당정 회의에는 당에서 홍영표 원내대표, 김 정책위의장과 진선미 원내수석부대표 등이, 정부에선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 등이 각각 참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