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 기술개발 현장 언론에 공개…우려 불식 위한 적극 행보

한국형 전투기(KF-X)에 탑재될 AESA(다기능위상배열) 레이더 소프트웨어를 가동하자 계기판 화면에 붉은색 세모꼴 6개가 동시에 뜨더니 천천히 남쪽으로 내려왔다.

가상의 적 전투기들이었다.

이에 대응하는 KF-X는 초록색 세모꼴로, 아군 전투기 2대는 노란색 세모꼴로 표시됐다.

AESA 레이다가 적과 아군의 전투기 8대를 동시에 탐색·추적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화면이었다.

KF-X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지난 6일 기자들을 대전 본소로 초청해 현재 개발 중인 AESA 레이더 소프트웨어를 시연했다.

시연은 ADD 대전 본소에 있는 전자전 비행모의시험실에서 진행됐다.

AESA 레이더는 KF-X의 눈에 해당하는 핵심 장비로, 안테나가 전자적으로 각도를 조절하며 레이더를 주사해 공중과 지상, 해상의 표적 여러 개를 한꺼번에 탐색·추적할 수 있다.

현재 우리 공군이 보유한 KF-16과 F-15K 전투기만 해도 기계식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기계식 레이더는 다수의 표적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추적할 수 없다.

AESA 레이더 계기판 화면에는 가상의 적 전투기가 급선회하는 것도 그대로 나타났다.

표적의 급격한 움직임도 AESA 레이더의 감시망을 벗어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ADD는 이날 AESA 레이더 응용연구 결과 만든 시제품을 공개하고 모의 표적을 탐지하는 것도 시연했다.

AESA 레이더와 1.1㎞ 떨어진 곳에 모의 표적을 설치하고 전자파 반사 시간 조절을 통해 모의 표적이 50노티컬마일 거리에서 접근하는 상황을 연출한 것이다.

AESA 레이더는 모의 표적이 44노티컬마일(약 81㎞) 정도 떨어진 곳에 들어오자 이를 포착해냈다.

ADD가 이날 가동한 AESA 레이더 시제품은 송수신 소자인 모듈을 500개 갖췄다.

KF-X에 탑재될 AESA 레이더는 1천개의 모듈을 장착하게 돼 탐색·추적 능력도 그만큼 커진다.

ADD는 AESA 레이더 시제품을 개발했지만 앞으로 비행 시험을 통해 전투기 비행 환경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레이더 장비도 소형화·경량화해야 한다.

AESA 레이더의 모듈이 발산하는 열을 냉각수를 이용해 균일하게 제거하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ADD 관계자는 "기술적인 면에서는 AESA 레이더 개발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개발 일정에 맞추려면 인력과 예산을 늘릴 필요는 있다"고 설명했다.

ADD는 2019년까지 AESA 레이더 공대공 모드를 개발하고 2017년 공대지·공대해 모드 개발에 착수해 2021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체계통합에 걸리는 시간을 반영하면 KF-X는 개발 목표 연도인 2025년에는 우선 공대공 모드 AESA 레이더를 장착하고 2028년이 되면 공대지·공대해 모드까지 갖추게 된다.

ADD는 이날 AESA 레이더 외에도 KF-X의 핵심 항공전자장비인 IRST(적외선탐색 추적장비), EO TGP(전자광학 표적추적장비), RF 재머(전자파 방해장비)의 개발 현황도 공개했다.

보안을 중시하는 ADD가 취재진을 대전 본소에 초청해 연구 현장을 공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장명진 방위사업청장에게 'KF-X 사업을 기한 안에 성공시키도록 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을 계기로 KF-X 사업에 관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노력으로 보인다.

당시 박 대통령은 장 청장에게 'KF-X 사업에 관한 정확한 사실을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ADD는 이날 대잠수함 어뢰인 '홍상어' 발사 실패를 포함해 과거 무기체계 개발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 장면이 담긴 영상도 기자들에게 보여줬다.

어떤 사업도 위험을 수반하는 만큼, KF-X 사업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위험을 의식해 소극적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메시지로 해석됐다.

그러나 18조원대 초대형 사업인 KF-X 사업의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한, 우려가 쉽게 불식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ADD도 이날 KF-X의 4개 핵심 항전장비 개발 현황과 계획은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이들 장비의 체계통합기술 개발을 위한 상세한 로드맵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미국 정부가 지난 4월 한국측에 이전을 거부해 논란을 일으킨 것도 이들 4개 항전장비의 체계통합기술이다.

ADD는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철매-Ⅱ 다기능 레이더, 차기 호위함(Batch-Ⅰ) 탐색 레이더, 무인항공기 체계통합기술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KF-X 항전장비 체계통합기술도 자체 개발하되 필요할 경우 외국의 협력을 얻는다는 방침이다.

ADD 관계자는 "연구개발이란 '아무도 가본 적 없는 길을 가는 것'으로, 위험을 감내하면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이라며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해서는 위험을 지나치게 두려워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대전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ljglor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