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문제를 둘러싸고 여권내 논란과 갈등이 증폭되는 양상을 빚고 있어 보통 우려스럽지 않다. 그렇지 않아도 국정감사와 10월 재보궐 선거 이후 정치권을 중심으로 세종시가 다시 쟁점으로 부각되는 상황이고 보면 여권의 이 같은 분열상이 갈수록 문제해결을 어렵게 만들 소지가 크다는 점에서 그렇다.

지금 가장 주목되고 있는 것은 첨예(尖銳)하게 대립된 여권 내부의 목소리다. 정운찬 총리와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공개적으로 상반된 주장을 펴고 있는 상황은 일반 국민들로서도 적지 않게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정 총리는 지난 29일 기자간담회와 30일 세종시 건설현장 방문을 통해 잇달아 세종시를 세계적인 명품도시로 만들겠다며 원안 수정의 불가피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전할 행정기관(9부2처2청)을 대폭 줄이는 대신 대학 연구소 등을 유치해 자족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었다. 총리실에서 주도적으로 마련중인 수정안의 밑그림을 일부 제시한 셈이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는 31일 부산방문에서 재차 '국민과 충청도민에 대한 약속'이라는 논리로 원안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언급했다. 이 문제로 자신을 만나겠다는 정 총리의 면담 의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박 전대표와 정 총리의 입장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국정의 성패를 함께 책임지고 있는 여당과 행정부의 책임있는 인사가 이처럼 현안에 대해 정반대의 목소리를 내면서 대립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일단 해법을 논의하고 여권의 입장부터 조율할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총리실은 세종시의 수정 청사진을 가급적 빨리 마련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대안이 있어야 양자간에 효율적인 대화가 가능할 뿐더러 직접 이해당사자격인 충청도민이 합리적인 선택을 할 근거로도 삼을 것이기 때문이다.

국내외 경제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다. 할 일도 그만큼 많다. 여권은 세종시를 둘러싼 볼썽사나운 집안 갈등을 지양하고 내부 의견부터 수렴하기 바란다. 그럼으로써 여전히 반대 일변도인 야권에 국가의 백년대계를 보는 미래형 도시로 건설의 당위성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동안 제기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빨리 내놓고,건설적인 논의를 주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