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업 인재양성 'HR닥터' 활용하길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계(2021)’에 따르면 2020년 활동하다가 사라진 기업은 76만1000개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지만, 2021년 신생기업은 102만2000개로 전년 대비 3.4% 감소했다. 기업 활동의 역동성이 낮아졌다는 의미다.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과 코로나19의 충격이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을 ‘디지털·저탄소’로 빠르게 바꿔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경영 환경은 차이가 있지만, 모든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인재 확보’가 중요하다. 인재를 확보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길러진 인재를 ‘채용’하는 것과 맞춤형으로 ‘양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구인·구직 미스매치와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으로 필요한 인재를 적시에 채용해 활용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인재 양성은 어떻게 해야 할까? 기업에 필요한 인재 양성의 해답은 ‘훈련’에 있다. 근로자는 실무 경험과 훈련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산업현장에서 숙련한다. 환경이 복잡하고 불확실할수록 기본에 충실한 것이 최고의 해결책이다. 하지만 고용노동부에서 실시한 ‘기업직업훈련 실태조사(2021)’에 따르면 기업의 절반(47.3%)은 직업훈련지원제도를 인지하고 있으나 그중 이를 실제 활용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15.1%에 불과했다.

정부 지원제도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를 실제 현장에서 살펴보면, 기업 관계자의 주된 대답은 ‘정보의 범람’이다. 중소기업을 위한 많은 지원정책이 있지만, 적합한 지원사업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고용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지난 2일 ‘능력개발전담주치의’ 발대식을 열고 산업현장에 뛰어든 이유다. 공단 직원 122명이 ‘HR닥터’가 되어 기업·훈련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 여건을 진단하고 적합한 지원사업과 맞춤 훈련과정까지 추천해 직업훈련 참여를 안내한다. ‘기업이 찾아오는 서비스’에서 ‘기업을 찾아가는 서비스’로 전환해 중소기업의 직업훈련 참여를 활성화하려고 한다.

지난해 시범운영을 통해 1530개 기업을 상담하고, 836개 기업이 교육훈련에 참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9000개 기업으로 확대한다. ‘HRD진단 컨설팅’부터 맞춤형 훈련과정을 지원하는 ‘훈련과정개발컨설팅’, 기업 핵심 직무 분석과 역량 모델링 등을 지원하는 ‘심화 컨설팅’까지 기업과 함께한다. 프랑스 인시아드(INSEAD)가 매년 발표하는 ‘인재경쟁력지수’에서 지난해 한국은 122개 국가 중 27위로 미국, 독일, 일본보다 낮다. 해외 인재 유치와 함께 인재 양성, 숙련도 등 인재의 수준을 평가한 결과다. ‘능력개발전담주치의’는 2026년 20만 개 기업이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하도록 지원해 기업의 인재 경쟁력과 역동성을 높여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