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S의 정의=IMS란 정보화를 기반으로 한 경영관리를 위해 필요한 방침과 목표를 정하고 이의 달성을 위한 조직,책임,절차를 마련한 후 인적,물적인 자원을 배분한 후 전사적으로 체계있게 관리해 나가는 경영활동을 말한다. IMS를 이루는 기본적인 요건으로서는 정보화경영목표와 방침의 설정,정보화 수준평가 절차 마련과 기록보관,정보화 관리 활동과 종업원 교육 훈련,내부 감사 및 비상사태 안전 대책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IMS의 기본적인 요건을 갖추고 규정된 절차에 따라 기업의 경영개선과 효율성을 달성하고 있는 것을 제3자가 증명하여 주는 활동을 인증이라 한다. IMS의 필요성=현재 우리나라 기업,특히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은 47.8%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중소기업은 당면한 현안문제 해결과 인식 부족으로 지식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대한 대응이 부족하고 별도의 노력없이는 스스로 시대의 흐름을 준비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지식정보화시대에 고객 수요 및 경영환경 변화에 유연하고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경영시스템 구축을 통해 기업경영혁신과 체질을 개선해 나가기 위한 새로운 경영혁신 수단이 필요하게 됐다. 즉 지식정보화시대에 지식정보화 기반기업 경영구조로의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경영툴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정보화에 대한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중소기업 정보화의 혁신 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기업 자발적인 정보화 시스템 구축과 자가진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정보화 능력과 시스템의 보안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국가적인 모티브 마련이 필요한 것이다. 셋째는 정보화 기반 선도 중소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수단 확보가 필요하다. IMS 인증제도를 통해 정보화기반 우수 중소기업을 많이 발굴하고 우수 추진사례 보급을 통해 업종별 정보화수준을 제고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선도기업 육성을 통해 유사 및 동종업계로의 정보화경영 확산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정보화 기술 및 컨설팅 산업의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우리 국가 정보화 및 산업정보화의 기반을 강화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정보화경영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보기술(IT),소프트웨어 시스템 감리 등 관련 정보기술의 발전과 정보시스템 및 경영정보화 컨설팅 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촉진제가 될 것이다. IMS의 특징=IMS는 ISO인증과는 여러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국내기업 현장에는 품질과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국제표준에 의거 품질경영인증제도(ISO9000)와 환경경영인증제도(ISO14000)가 운영되고 있다. IMS 인증제도는 경영시스템이라는 기본적인 관점에서는 동질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ISO9000/14000은 관리절차와 체제의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심사하는 반면 IMS는 관리절차와 체제의 효율성 이외 최소한의 정보화 성과 및 수준도 심사대상이 된다. 또한 IMS는 정보화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사내 환경 즉 정보화시스템과 응용프로그램(HW와 SW)이 어느 정도 갖춰지지 않으면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ISO 인증제도는 심사원의 활동범위나 요건이 비교적 경직적으로 운영되나 정보화경영체제는 이러한 요건을 두지 않고 심사원의 자질과 책임에 대해 매우 엄격한 관리가 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인증제도의 기본 틀이 ISO적 사고에서 다소 벗어나 인증결과에 대한 심사원과 인증기관의 책임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IMS 인증제도는 지속적 개선을 위해 레이팅(Rating)시스템이 도입된다는 점이다. 정보화 수준과 경영시스템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개선정도를 등급화하고 심사결과 등급부여를 수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지속적 개선을 추진하게 되고 인증기관의 부실심사를 예방하게 된다. 따라서 인증획득은 정보화경영의 의미있는 첫걸음이 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