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에 걸린 아버지, 우울증을 앓는 어머니….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 선 노년의 심리를 치밀하게 그려낸 연극 두 편이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한다. 프랑스 젊은 극작가 플로리앙 젤레르가 쓴 ‘아버지’(연출 박정희)와 ‘어머니’(연출 이병훈)가 다음달 13일부터 8월14일까지 평일에는 하루걸러, 주말엔 오후 3시와 7시30분 교대로 같은 무대에 오른다. 젤레르는 고령화와 치매, 빈둥지증후군 등을 내밀하게 묘사하며 주목받았고, 그의 팬을 일컫는 ‘젤레르주의자’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다. 두 작품은 프랑스 최고 연극상인 몰리에르상 작품상(아버지)과 여우주연상(어머니)을 받았다. 두 연극을 제작한 국립극단의 김윤철 예술감독은 “두 작품은 2년의 시간차를 두고 쓰여졌지만 고통받는 모성애와 부성애를 음악의 대위법처럼 병렬적으로 그려내고 있다”며 “두 작품을 한꺼번에 비교해서 볼 때 더 강렬한 연극적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연장인 명동예술극장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주인공 박근형(76)과 윤소정(72)을 만나 작품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박근형…치매로 소멸해가는 아버지

연극 ‘아버지’의 박근형
연극 ‘아버지’의 박근형
“대본을 읽자마자 제가 하겠다고 했어요. 드라마 등 일정도 모두 조율했죠. 연극은 저의 ‘모태’거든요. 공연장에 갈 때마다 ‘나는 언제 또 무대에 서나’라고 생각했어요. 무슨 작품을 한다는 이야기만 들리면 함께하고 싶은 욕망이 늘 있었죠.”

박근형은 권위적이던 아버지 앙드레가 치매에 걸려 소멸해가는 과정을 연기한다. 1958년 18세에 마냥 연기하는 것이 좋아 연극배우의 길에 발을 들인 그는 어느새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년 배우가 됐다. 치매 연기만 이번이 세 번째다. “아버지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작품입니다. 저도 그동안 제 욕심 차리느라 좋아하는 일만 하다 보니 가정에 불행을 가져다준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치매에 걸린 그에게 과거와 현재의 기억이 겹친다. 그는 “내가 누구인지,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도 모르겠고, 더 이상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는 대목에선 눈물이 쏟아졌다”고 했다.

‘아버지’는 올해 영국과 미국에서 아버지 역을 맡은 배우들이 각각 올리비에상 연기상, 토니상 남우주연상을 받아 화제가 된 작품이다. 연기에 대한 부담감은 없을까. “오랜만에 연극 무대에 선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행복합니다. 연극이 제 인생의 꽃을 피워 줬듯, 저의 마지막 가는 길도 연극으로 꽃을 피웠으면 하거든요.”

◆윤소정…깊은 상실감에 빠진 어머니

연극 ‘어머니’의 윤소정
연극 ‘어머니’의 윤소정
“쉬운 작품은 하고 싶은 마음이 없었어요. 그러다 이번 희곡을 읽었는데, 배우로서 도전의식이 생기더라고요. 그런데 연습을 하다 보니 배역이 너무 어려워 ‘주제 파악을 잘 못 했구나’라는 생각과 함께 신경성 위염까지 걸렸어요. 하하. 그래도 이런 고통이 없으면 작업하는 의미가 없죠.”

윤소정은 남편과 아이들에게 모든 것을 바쳤지만, 모두가 떠난 뒤 정체성을 잃어버린 중년 여성 안느의 깊은 상실감을 그린다. “아내는 평생 가족을 위해서 살아요. 그건 희생이 아니라 즐거움이었어요. 그런데 남편은 바람이 나고, 아들도 여자를 만나 떠나자 더 이상 무언가를 해줄 상대가 없어지는 거예요. ‘행복할 거리’가 없어지는 거죠.”

극 중 안느는 빨간 드레스에 집착한다. 윤소정은 “빨간색은 피, 생명 등을 상징한다”며 “폐경으로 상실감을 느끼는 그가 어떻게든 남편과 아들의 사랑을 되찾고 싶어 하는 간절함 같은 것이 마음에 와 닿는다”고 설명했다.

누군가의 어머니로 살아가는 그에게도 그런 경험이 있을까. “극 중 주인공 나이가 47세인데, 저도 그 나이를 거쳐 왔어요. 아이들은 자라면 부모를 떠나는 게 순리예요. 그런데 그 순간이 닥치면 견디기가 무척 어려워지죠. 중년 여성들이 자식들이 떠나도 끝까지 자기가 즐길 수 있는 ‘어떤 것’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