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세계 게임 시장 규모는 약 282조원(2천220억 달러)로, 이 중 모바일 게임이 절반 이상인 61%를 차지할 것이라는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글로벌 데이터 분석 플랫폼 data.ai와 게임 마케팅 정보 기업 IDC가 발간한 보고서 '게임 스포트라이트 2022년 리뷰'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의 소비자 지출액은 총 1천360억 달러로, PC 게임(400억 달러)나 가정용 콘솔 게임(420억 달러)의 3배 이상이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태평양 시장이 전체 모바일 게임 소비자 지출액의 49%를 차지해 가장 큰 시장으로 분석됐다.
아시아·태평양 시장은 PC게임 부문에서의 지출액도 43.5%로 가장 컸다.
동유럽의 모바일 게임 소비자 지출액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일어난 2월에는 약 620억 원(4천887만 달러)으로 나타났으나, 전쟁 발발 직후에는 절반 수준인 약 360억 원(2천844만 달러)으로 줄어들었다.
모바일 게임 순위는 중국 미호요의 '원신'이 1위를 차지했고, '로블록스', '왕자영요', '캔디 크러시 사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산 게임 중에서는 엔씨소프트의 '리니지W'가 8위를 차지했다.
스팀 플랫폼에서는 지난해 기준 중국 넷이즈의 '나라카: 블레이트포인트'가 1위를 차지했고, '배틀필드 2042', 'GTA 5', '도타 2' 순으로 나타났다.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도 8위를 기록했다.
여성 게임 소비자들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 내 소비자 지출 기준 상위 1천개 모바일 게임 중 여성 사용자가 주류인 게임 비율은 미국에서 47%를 기록했으며, 2019년 37%, 2020년 45%에 이어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한국도 지난해 기준 28%를 기록했으며, 2019년 21%, 2020년 26%를 거쳐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 내 여성 사용자가 주류인 모바일 게임 중 가장 높은 소비자 지출을 기록한 게임은 데브시스터즈의 '쿠키런: 킹덤'으로, 인구 대비 여성 게이머의 플레이 가능성이 10% 높았다.
만 45세 이상 X세대·베이비부머 게이머들의 비중도 커졌다.
소비자 지출 상위 1천개 모바일 게임 중 만 45세 이상이 주류인 게임의 비율은 미국에서 25%를 기록해, 2019년 19%, 2020년 21%에 이어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LoL) 국제대회 월드 챔피언십(이른바 '롤드컵')에 진출할 팀을 최종적으로 가리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서머'의 결승전이 8월 28일 열린다고 LCK가 6일 밝혔다. 결승전 장소는 강원 강릉시 강릉올림픽파크 내 강릉아레나다. 이 곳에서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피겨스케이팅·쇼트트랙 종목 경기가 열렸다. LCK 결승전이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 열린 것은 2018년 부산에서 열린 LCK 스프링 이후 처음이다. LCK는 강릉시의 인프라와 시 차원의 적극적인 유치·지원 의사를 감안해 결승전 장소를 정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LCK 서머 정규리그에서는 젠지(Gen.G)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 정규리그 마무리 사흘 후인 8월 17일부터 플레이오프가 시작될 예정이다. LCK 서머 플레이오프에서 최종 우승한 팀은 1번 시드로 롤드컵에 직행하고, 1번 시드를 제외하고 LCK 스프링·서머 챔피언십 포인트를 합산했을 때 1위인 팀은 2번 시드를 받는다. 3번, 4번 시드는 나머지 팀 중 챔피언십 포인트 1∼4위 간 별도의 선발전을 거쳐 결정된다. /연합뉴스
오는 11월 오프라인 정상 개최를 확정한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 2022'에 넥슨, 넷마블 등 대형 게임사들이 잇따라 참가를 확정했다.6일 지스타조직위원회는 올해 '지스타 2022'의 메인 스폰서 및 참가사 등 주요 현황을 공개했다. 한국게임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지스타 조직위,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는 지스타 2022는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다.지스타 2022의 메인 스폰서로는 위메이드가 선정됐다. 위메이드는 BTC 200부스, BTB 30부스 규모의 전시 참가를 확정하고 메인 스폰서의 자격으로 조직위와 함께 부산 전역을 활용한 축제 프로그램 준비에 돌입한다.참가 게임사로는 △넥슨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레드브릭 △샌드박스네트워크 △이루고월드 △인벤 △HoYoverse 등이 참가를 확정했다. 또 △경기콘텐츠진흥원 △틱톡코리아 △한아세안센터도 참가를 확정했다.지스타 조직위가 메인 스폰서 및 주요 참가사 정보를 7월에 발표한 것은 이례적이다. 준비 단계가 빨라진 만큼 지스타 2022 개최에 더욱 만전을 기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지스타 조직위는 오는 9월 중으로 행사 세부 내용을 추가 발표한다고 덧붙였다.지스타 조직위는 "참가 접수의 전체 마감을 앞당기고 실질적인 행사 준비와 프로그램 준비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오프라인 개최를 확정한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에 넥슨, 넷마블 등 한동안 떠나 있던 대형 게임사들이 다시 참가한다.6일 지스타조직위원회가 공개한 주요 참가사 현황에 따르면 넥슨은2018년 이후 4년 만에, 넷마블은 2019년 이후 3년 만에지스타 현장 참가를 확정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지스타는 2020년 온라인 개최, 2021년 참관객 입장 수를 제한한 현장 개최로 진행한 바 있다.올해 지스타 메인 스폰서는 위메이드다. 위메이드는 B2C 200부스, B2B 30부스 규모의 전시 참가를 확정함과 동시에 메인 스폰서의 자격으로 조직위와 함께 부산 전역을 활용한 축제 프로그램 준비에 돌입한다.B2C관에는 넥슨, 넷마블, 레드브릭, 샌드박스네트워크, 이루고월드, 인벤,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호요버스 등이참가를 확정했다. B2B관에는 경기콘텐츠진흥원, 넥슨, 카카오게임즈, 틱톡코리아, 한아세안센터가 나온다.조직위가 메인 스폰서와 주요 참가사 정보를 7월에 발표한 것은 이례적이다. 모든 준비 단계가 빨라진 만큼 행사 개최에 더욱 만전을 기한다는 계획이다.조직위는 "참가 접수의 전체 마감을 앞당기고 실질적인 행사 준비와 프로그램 준비에 집중한다는 방침으로 9월 중 세부사항들을 추가 발표할 예정이다"고 전했다.B2C와 B2B 대형부스 참가 접수는 각각 5월 첫째 주와 6월 셋째 주에 종료됐다. 현재 소형부스 접수를 진행 중이다.조직위는 현재의 접수상황 등을 고려해 제2전시장에 구성을 계획한 'B2C-B2B 하이브리드 존'을 확대된 B2C관으로 변경하고 B2C 전시 참여를 희망하는 참가사들을 추가 접수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B2C관은 제1전시장과 제2전시장 3층에 구성되고, B2B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