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장치·디스플레이만 있으면
클라우드를 PC처럼 맘대로 사용
'블루오션'으로 뜬 클라우드PC
한컴, 아마존 손잡고 출격 채비
SK-네이버도 올해 시장 진출
국내에도 ‘클라우드PC’ 시장이 열릴 전망이다. 클라우드PC는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등 최소 기능만 갖춘 간편 단말기로 가상 공간인 클라우드를 마치 완전한 PC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다. 미국 유럽 등 해외에서는 2~3년 전부터 주목받아 왔지만 국내에는 도입과 활용이 본격화하지 않았다.
30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한글과컴퓨터그룹(한컴그룹)은 그룹운영실·해외사업 총괄을 주축으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DaaS(Desktop as a Service) 기반의 클라우드PC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성사된다면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와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가 ‘연합군’을 꾸린 첫 사례가 된다.
AWS와 한컴은 2018년 AWS의 파일관리 서비스 ‘워크독스’에 오피스SW를 적용한 이후 긴밀한 관계를 이어 왔다. 한컴그룹 관계자는 “양사 간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클라우드PC 시장은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이다. 운영체제(OS)와 응용프로그램, 저장 공간 등 컴퓨터 기능의 대부분을 클라우드 환경으로 옮겨버린다는 개념이어서, 솔루션과 저장공간이 중심인 일반 클라우드 서비스와는 다르다. 최소한의 장치만 있는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을 클라우드에 연결해 내 사무실 데스크톱PC처럼 쓰는 게 가능하다. 반면 비용은 PC 네트워크 구축 금액의 30~40% 수준이라는 게 강점이다.
국내 시장은 주도 업체가 뚜렷하지 않은 초기 단계다. 코로나19가 시장 형성의 방아쇠가 됐다. SK브로드밴드는 올해부터 네이버클라우드와 함께 클라우드PC의 고객사 확보에 나선 상태다. 지난 1월 기업은행과 서비스 계약을 맺고, 지난달에는 자사에 3000대 규모의 클라우드PC 도입을 완료했다. 이 밖에 KT, LG유플러스 등이 시장 선점을 위해 서비스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한컴그룹과 AWS의 동맹이 가져올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사가 준비하는 클라우드PC 사업은 DaaS라고 불리는 일종의 구독형 서비스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데스크톱 가상화(VDI) 형태보다 대상 고객군 범위가 넓다. 글로벌 사업자와의 경쟁이 시작됐을 때 CSP(Cloud Service Provider)와 SW 전문 회사가 만들어낼 시너지가 클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시장 진출은 PC 제조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여러 장치와 부품, 솔루션이 모두 들어간 기존 PC 개념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앞서 기존 PC 생산 업체들도 데스크톱 가상화에 선제적으로 대비에 나선 적이 있다. 2011년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뛰어들었던 ‘신클라이언트(필수 장치만 탑재한 PC)’ 사업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통신 기술의 한계에 부딪혀 제대로 빛을 보지 못했다. 업체들이 하나둘 다시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한 것은 올 들어 클라우드 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덕분이다. 이승훈 IBK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네트워크 속도만 받쳐주면 DaaS 도입에서 현재 디바이스 개념은 의미를 잃는다”며 “클라우드의 성장으로 기업용 서버를 팔아오던 델과 HP가 타격받은 것에 비춰봤을 때 PC 제조사들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마켓리서치퓨처에 따르면 글로벌 클라우드PC 시장은 2025년 255억달러(약 29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 게임업체를 잡으려는 클라우드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클라우드가 필수인 국내 게임산업의 가파른 성장세가 맞물린 현상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거점인 데이터센터 건립도 잇따르고 있다. MS “게임 제작 툴 그냥 쓰세요”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말 그대로 ‘폭발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를 지난해 2조7818억원에서 내년에 3조7238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8년(1조9406억원)에 비해 두 배로 늘어난 규모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게임 시장이 급팽창하다 보니 게임회사들이 비용이 훨씬 적게 드는 클라우드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며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이 이런 수요를 발 빠르게 파고들고 있다”고 전했다.마이크로소프트(MS)가 대표적이다. 회사는 최근 클라우드 성능을 게임업계 수요에 맞춰 대폭 강화했다. 클라우드 플랫폼인 ‘애저’에 데이터 이동 속도와 편의성을 높인 ‘애저 시냅스 페스웨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고객사의 데이터 관리 방식을 개선한 ‘애저 퍼뷰’도 내놨다. MS는 엑스박스와 마인크래프트 등의 게임사업 경력을 내세워 회사가 보유한 게임 개발용 툴킷을 제공하는 등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이미 다수의 국내 유력 게임사를 고객사로 확보했다. ‘검은사막’으로 유명한 펄어비스는 신규 게임 ‘섀도우 아레나’의 쾌적한 이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MS의 맞춤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채택했다. 수백만 명이 동시에 게임에 접속해도 게임 이용이 원활하다.넥슨도 MS의 애저를 쓰고 있다. 넥슨은 그동안 인기 모바일 게임인 ‘오버히트’ ‘트라하’ ‘V4’ 등을 모두 애저를 통해 내놨다. 짧은 시간에 수십만 명의 이용자가 몰려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했다는 평가다. “한국에 데이터센터 세우자”해외 업체들의 공세를 맞닥뜨린 국내 클라우드 업체의 반격도 거세다. 네이버의 IT 서비스 전문 자회사인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 1월 클라우드 기반 게임 운영 플랫폼인 ‘게임팟’에 신규 기능을 추가했다. 게임 내 채팅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게임챗’과 게임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게임리포트’를 더했다. NHN은 관련 서비스인 ‘토스트 게임베이스’를 앞세워 고객사 유치에 나서고 있다. 토스트 게임베이스는 게임 제작을 제외한 인증, 결제, 운영 등 게임 유통에 필요한 기능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게임 플랫폼이다.국내 게임 클라우드 시장이 급팽창하면서 서비스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움직임도 속도전에 들어간 양상이다. 구글은 지난해 서울에 해외 업체 중 처음으로 데이터센터(리전)를 세웠다. 미국의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정보기술(IT) 업체인 서비스나우도 지난해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처음 열었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서울 데이터센터의 처리 용량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MS도 서울과 부산에 두 곳의 리전을 개설한 데 이어 추가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게임 시장 규모는 17조93억원으로 추산됐다. 1년 전보다 9.2% 성장한 규모다.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이번주 내내 약세를 보였던 미국 게임용품 유통업체 게임스톱의 주가가 25일(현지시간) 하룻동안 53% 폭등했다. 개인 투자자 중심의 투기적 장세가 다시 나타났다.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게임스톱 주가는 전날 대비 52.69% 급등한 주당 183.75달러로 마감했다.별 다른 호재가 없었지만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갑자기 몰리면서 주가가 급등했다.게임스톱 주가는 전날인 24일만 해도 33.79% 급락했다. 직전분기 매출이 21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3% 줄어들었다고 발표한 데 따른 여파로 분석됐다. 이 회사는 동시에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신규 주식을 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증시에서 증자 계획 발표는 일반적으로 악재로 꼽힌다. 아마존과 구글 출신인 제나 오웬스를 새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선임한다는 계획도 내놨다.전날 악재로 작용했던 게임스톱 관련 소식은 이날 호재로 돌변했다.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바뀌면서 아마존과 경쟁할 것이란 기대가 나왔던 것이다. CNBC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게임스톱 주식이 대표적인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사진이나 영상) 종목으로 다시 주목을 받았다”고 전했다.올해 초 주당 20달러를 밑돌던 게임스톱 주가는 공매도 세력에 반감을 갖고 있던 개인 투자자들이 결집하면서 1월 말 주당 최고 483달러까지 치솟았다. 이후 40달러 선까지 밀렸으나 다시 200달러를 넘는 등 롤러코스터를 타 왔다.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
네이버의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가 25일 오후 한때 먹통이 됐다.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이날 오후 "콘솔 로그인 시 일부 사용자의 일시적인 접속 오류가 확인돼 원인 파악 후 긴급 점검 및 복구 작업 중"이라며 "다른 서비스는 모두 정상적으로 서비스되고 있다"고 밝혔다.이 회사 관계자는 "하드웨어(HW) 장애로 일시적으로 일부 콘솔에 로그인이 안되는 현상"이라며 "바로 정상화됐다"고 설명했다.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기업간거래(B2B)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네이버의 자회사다. 네이버의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마이박스'는 정상 작동했다.이에 앞서 지난 24일 네이버의 뉴스·카페·블로그 등 서비스는 약 1시간 넘게 장애를 일으킨 바 있다. 서비스는 이로부터 약 1시간30여분 뒤 대부분 복구가 완료됐다. 현재 네이버는 정확한 서비스 오류 원인을 파악 중이다.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