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무기한 연기했던 3분기 성장률과 9월 무역수지 등 주요 경제지표를 24일 한꺼번에 발표했다. 공산당이 시진핑 집권 3기의 핵심 지도부 인선을 전날 마무리한 직후다. 숫자들은 예상치를 넘었지만, 앞으로 중국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와 전기 대비 모두 3.9%로 집계됐다고 이날 발표했다. 중국은 한국과 달리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을 주지표로, 전기 대비를 보조지표로 본다.
중국의 3분기 성장률은 시장 예상치(3.4%)를 웃돌았다. 국가통계국은 "예상하기 어려운 외부 충격이 많았지만 극복했다"고 강조했다. 시장에선 부동산시장 침체 장기화,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주요 경제권 봉쇄, 이상 고온과 전력난 등 악재들이 중국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준 것으로ㄹ지 분석했다.
중국의 분기 성장률은 하락 추세가 확연히 나타나고 있다. 작년 1분기 18.3% 이후 7.9% → 4.9% → 4.0% → 4.8% → 0.4%(2022년 2분기)로 이어졌다. 4분기 시장 예상치는 4~4.5%다.
올 3분기까지 누적 성장률은 3.0%였다. 중국 정부가 올해 초 제시한 목표인 5.5%와는 격차가 크다. 중국 지도부는 최근 "질적 성장이 중요하다"는 발언을 반복하면서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중국의 연간 성장률은 2016~2019년 4년 동안 6%대를 유지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한 2020년 2.2%로 떨어졌다가 2021년 8.1%로 반등했다. 저출생·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경제 활력이 떨어지면서 6%대 성장세를 되찾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많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의 올해 연간 성장률을 3.3%, 세계은행은 2.8%로 보고 있다.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평균은 3.5%다. 2023년 전망도 밝지 않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3.9%, IMF가 4.4%, 세계은행이 4.5%로 관측했다.
반면 내수 경기를 보여주는 소매판매 증가율은 2.5%로 8월 5.4%에서 급락했다. 경기 침체 우려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있다는 분석이다. 도시실업률도 8월 5.3%에서 9월에는 5.5%로 뛰었다. 중국 정부의 올해 실업률 관리 목표가 '5.5% 이내'다.
중국 위안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특히 수출 동력이 떨어지는 것은 중국 경제의 부담으로 지목된다. 해관총서(세관)가 이날 발표한 9월 수출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5.7%였다. 이 지표도 시장 예상치(4.1%)보다는 높았다. 하지만 7월 18%에서 8월 7.1%로 급락한 데 이어 9월에도 하락 추세가 이어지면서 수출 둔화가 고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의 월간 수출 증가율은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에서 벗어나던 2020년 하반기부터 올 초까지 호황을 유지했다. 부동산시장 침체, 지방정부 적자 누적에 따른 인프라 투자 약세 속에 수출이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 세계은행은 중국 GDP에서 수출의 기여도를 20% 안팎으로 분석했다.
'경제수도' 상하이를 비롯한 주요 경제권 봉쇄로 올 상반기부터 수출 주문이 동남아시아로 대거 이동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우크라이나전쟁 장기화 등으로 주요국 경기가 침체하면서 중국의 수출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궈타이쥔안증권은 “중국의 월간 수출 증가율이 4분기에 마이너스를 나타낼 수 있다”고 관측했다. 중국국제금융공사(CICC)는 중국의 분기별 수출 증가율이 3분기 12.8%에서 4분기 8~10%로 떨어질 것으로 봤다.
9월 수입 증가율은 0.3%로 집계됐다. 시장 예상치인 1.0%에 크게 미달했다. 소매판매와 함께 내수 경기를 나타내는 수입 증가율은 지난 2월 15.5%에서 3월 -0.1%로 떨어진 뒤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수출과 수입 부진은 시 주석 집권 3기 경제 운용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공산당은 지난 22일 폐막한 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당 헌법인 공산당장정(당장·堂章)에 '쌍순환' 발전 전략을 추가했다. 시 주석이 2020년을 전후해 제시한 쌍순환은 '국내 대순환'과 '국제 순환'이 어우러진다는 것으로 내수 경제 발전에 방점을 두고 있다.
미국과의 전략 경쟁이 심화하면서 국제사회에서 고립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미국처럼 국내 서비스업 중심 구조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국제 순환(수출)의 뒷받침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게 국내외의 분석이다.
전날 출범한 공산당 3기 지도부가 전원 시 주석 충성파로 구성되면서 중국이 세계 경제에 던지는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는 진단도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이전과 달리 20기 공산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7인이 모두 시 주석과 그의 최측근이어서 견제 세력이 한 명도 없다고 지적했다.
빅터 시 UC샌디에이고 교수는 신임 또는 유임 상무위원들과 관련해 "모든 면에서 시 주석 의견에 동의했던 인물들이어서 시 주석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짚었다. 경제 측면에선 시 주석이 당대회 개막 연설에서 4차례 언급한 '공동부유(共同富裕)'와 관련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성장 대신 분배를 지향하며 자유보다는 통제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 회귀 성향이 강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시 주석이 '당의 영도'를 강조한 부분도 눈에 띈다. 중국은 공산당이 국가 위에 있지만, 덩샤오핑 시대 이후 '당은 인사를, 정부는 실무를 담당한다'는 원칙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시 주석은 이런 원칙도 깰 전망이다. 이런 분위기는 국가통계국과 해관총서가 당초 당대회 기간 중으로 예정됐던 9월 수출입(16일)과 3분기 GDP(18일) 발표를 아무런 설명 없이 연기한 것에서도 드러난다.
일각에선 중앙정부 경험이 없는 리창 상하이 당서기와 지방정부 수장을 맡아본 적 없는 딩쉐샹 주석비서실장 등이 상무위원으로 발탁되고 각각 차기 총리와 상무부총리 후보로 부상한 것에 대해 '다른 모든 가치보다 충성이 우선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지적도 나온다.
닐 토머스 유라시아그룹 선임 애널리스트는 "공산당의 국무원(행정부)에 대한 개입이 커지는 가운데 경험이 적은 리창이 총리를 맡으면 중국의 경제 정책 수준이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싱가포르국립대 방문연구원 드루 톰슨은 "당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을 동원하면서 '수단이 결과를 정당화하는' 상황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애완 앵무새가 조깅하던 남성을 습격해 큰 상처를 입혀 새 주인이 거액을 배상해줘야 할 처지에 몰렸다.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은 대만중앙통신(CNA) 등 현지 매체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2020년 7월13일 저녁 구이런(歸仁)구에서 황모씨는 자신이 기르는 앵무새 두 마리를 잠시 풀어 하늘로 날려 보냈다.얼마 지나지 않아 이들 중 한 마리가 인근 도로에서 조깅 중이던 린모씨의 어깨에 날아가 앉았고, 날개를 퍼덕이며 뒤통수를 공격했다.키 40㎝, 양 날개 길이 60㎝에 이르는 커다란 새의 공격에 깜짝 놀란 린씨가 그대로 넘어지면서 고관절 탈구와 골반 골절 등 중상을 입었다.성형외과 의사로 일하던 린씨는 앵무새 주인 황씨를 과실치상 혐의로 고소했다.린씨는 또 입원 일주일, 특별 치료 3개월을 포함해 총 반년간 재활과 요양으로 일하지 못했다며 이에 따른 금전적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민사소송도 제기했다.타이난(台南)지방법원은 최근 손해배상 소송과 관련, "앵무새 주인 황씨가 마땅히 취했어야 할 주의 조치를 소홀히 했다"면서 "304만대만달러(약 1억1200만원)를 린씨에게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또 과실치상 혐의도 유죄로 판단하고 징역 2개월을 선고했다.황씨는 배상액 규모가 크다며 항소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태국의 전통 무술로 알려진 무에타이를 두고 태국과 캄보디아가 원조 논쟁을 벌이고 있다.오는 5월 열리는 제32회 동남아시안(SEA)게임 주최국인 캄보디아가 지난달 무에타이로 알려진 종목명을 자국 용어인 '쿤 크메르'로 변경한다고 밝히면서 논쟁이 촉발됐다.태국은 강하게 반발, 해당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겠다며 '보이콧'을 선언했다.이 같은 논란에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는 '무의미한 논쟁'이라고 일축했다.1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그는 오는 6일 무에타이의 날을 앞두고 전날 정부청사에서 열린 행사에서 "무에타이는 오랜 세월 태국 문화의 일부였고, 우리의 자랑이다. 이를 두고 누구와도 다툴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또 "아무도 빼앗아 갈 수 없으며, 남이 뭐라고 말하든 갈등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논쟁을 끝내자"고 덧붙였다.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양 국민의 논쟁에 대해서도 "무의미하다. 우리는 뭐가 뭔지 안다"고 말했다.이날 쁘라윳 총리는 무에타이 선수들과 함께 발차기를 선보이기도 했다.캄보디아는 무에타이로 알려진 전통 무술이 크메르 문화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캄보디아는 1963년 프놈펜 대회 이후 60년 만에 동남아시안게임을 주최하면서 '쿤 크메르' 명칭을 사용해 원조 논쟁에 불을 붙였다.캄보디아는 "우리가 주최국이므로 명칭을 변경할 권리가 있다. 이 경기는 크메르에서 시작됐으며 우리의 문화"라고 주장했지만, 태국 올림픽위원회는 "'쿤 크메르'라는 명칭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승인하지 않았다"며 국제 규정 위반이라고 비판했다.국제무에타이연맹(IFMA)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오는 4월13일 신작 장편소설을 발표한다.1일 출판사 신초샤(新潮社)는 하루키가 2017년 2월 출간한 '기사단장 죽이기' 이후 약 6년 만에 새로운 작품을 내놓는다고 밝혔다. 제목과 주제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신초샤는 "1200매의 장편소설이며 신문이나 잡지 등에 연재하지 않은 신작"이라고 소개했다.교도통신에 따르면 전자책도 출간일에 함께 발매될 예정이다.2000매 분량의 전작 '기사단장 죽이기'는 일본에서 초판만 130만부가 간행됐고, 발매 당일 책을 구하려는 사람들로 서점이 북새통을 이뤘다.하루키는 한국에서도 많은 열혈 독자를 확보한 작가다. 대표작으로는 '1Q84', '해변의 카프카', '노르웨이의 숲' 등이 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