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허장성세일 뿐…위안화 가치 하락, 중국에 득보다 실"
"중미 무역갈등 계속되면 연내 달러당 7위안 여러 차례 넘을 것"
SCMP "터무니없는 조치…美, 환율전쟁 핑곗거리 찾고 있었던 것"
中언론 "'환율조작국' 딱지 가치 낮아져…영향 제한적"(종합2보)
중국 관영 언론이 미국 재무부가 5일(이하 현지시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은 중국에 큰 피해를 주지 못한다고 일축했다.

환구시보는 6일 사평(사설)에서 2년 전이었다면 환율조작국 지정은 미국이 중국 상품의 관세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뜻해 중국인들이 걱정했겠지만, 지금은 이미 미국이 대규모로 추가 관세를 매기고 있다면서 "'환율조작국'이라는 딱지는 가치가 현저히 낮아졌으며 미국의 허장성세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미국이 중국에 위안화의 비정상적 하락을 막을 능력이 있다는 것을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조작했다는 증거로 삼은 것은 터무니없다고 주장했다.

또 미 재무부의 환율조작국 규정 3가지 가운데 중국은 대규모 대미 무역흑자에만 해당한다면서 이번 조치는 "완전히 정치적인 결정이며 중국을 향해 성질을 낸 것"이라고 말했다.

위안화 가치가 낮아지면 수출에는 유리하지만, 시장 신뢰에는 좋지 않으며 중국에 득보다 실이 크다고 인식된다고 환구시보는 설명했다.

신문은 아울러 환율 문제는 한 나라의 주권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이 무역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끝까지 미국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문은 "모든 것은 미국이 자초한 것으로 잘못된 시기에, 잘못된 대상에게, 잘못된 무역전쟁을 일으켰다"고 지적했다.

中언론 "'환율조작국' 딱지 가치 낮아져…영향 제한적"(종합2보)
신경보(新京報)도 이날 논평(論評)에서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것은 '낡은 패'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신경보는 "위안화가 오르내리는 것은 자체적인 특성이지 의도성이 있는 것이 아니다"며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목적은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무역 갈등의 연장선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신문은 또 "미국은 1992∼1994년에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적이 있지만, 실질적인 조처를 한 적은 없다"면서 "환율조작국 지정은 단순히 다른 국가를 위협하는 수단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일단 죄명을 씌운 뒤에 이를 빌미로 협상 카드로 활용하려 한다"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극한 압박'이라는 낡은 패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財新)도 "중국은 미국이 정한 환율조작국 지정 조건 3가지 중 무역흑자 조항을 빼고는 나머지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면서 "사실상 중국 중앙은행은 과거 1년간 중국의 환율 시장에 직접적인 개입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차이신은 또 "이번 사안은 중미 무역마찰이 한층 더 격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환율조작국 지정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중미 무역갈등이 격화하면서 위안화 절하 압박이 더 커질 것"이라며 "현 상태가 유지되면 위안화 환율은 연내 여러 차례 달러당 7위안이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위융딩(余永定) 중국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 연구원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단 하루 거래일에 벌어진 환율 변동을 이유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건 터무니없고 웃기는 일"이라며 "미국은 통화전쟁을 벌이기 위해 핑곗거리를 찾고 있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무역전쟁이 없어도 세계경기 침체의 위험이 있었는데, 무역전쟁의 가속화는 그 위험을 더욱 증폭하고 있다"며 "중국이 미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맞대응을 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중국은 위안화 환율 변동을 더욱 유연하게 하는 작업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