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 사태로 채권 시장이 혼돈에 빠지면서 사태를 촉발한 강원도를 향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강원도는 다음달 예산을 편성하고 내년 1월 말까지 빚을 전액 상환하겠다고 나섰지만, 시장의 불안은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부동산 시장 침체 등 악재가 겹친 상황에서 한 지방자치단체의 ‘오판’이 돌이킬 수 없는 파장을 일으켰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진태가 던진 '레고랜드 불씨'…채권시장 집어삼킬 '큰불'로

○12년 끌던 애물단지, 혈세 먹는 하마로

이번 사태의 중심에 있는 레고랜드는 개발부터 완공 이후까지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2010년 11월 개발 계획을 공개한 이후 지난 5월 정식 개장까지 12년이 걸렸다. 총 5270억원을 투입해 춘천시 중도동 하중도 일대 28만㎡에 테마파크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아시아권의 첫 번째 레고랜드로 기대를 모았다.

김진태가 던진 '레고랜드 불씨'…채권시장 집어삼킬 '큰불'로
강원도는 2011년 9월 최문순 강원지사가 취임한 직후 세계 2위 엔터테인먼트그룹인 영국 멀린과 레고랜드 투자합의각서를 체결했다. 100년간 시유지를 무상임대하는 파격적인 조건도 제시됐다. 도는 2012년 레고랜드 개발 시행사로 엘엘개발을 설립하고, 지분 44%를 출자했다. 엘엘개발은 특수목적법인(SPC) ‘KIS춘천개발유동화주식회사’를 통해 205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을 발행해 공사 대금을 조달했다. 도가 보증을 선 덕분에 ABCP는 최고 신용등급(A1)을 받았다.

레고랜드는 2014년 첫 삽을 뜨자마자 현장에서 선사시대 유적지가 발견되면서 중단 위기를 맞았다. 건설 계획 변경으로 공사가 지연되고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재정난에 시달리던 강원도는 2018년 사업시행주체를 멀린에 넘겼다. 이 과정에서 엘엘개발은 강원중도개발공사(GJC)로 회사명을 바꿨고, GJC는 SPC ‘아이원제일차’를 통해 2050억원 규모의 ABCP를 재발행했다. 기존 발행 주관사였던 한국투자증권은 비엔케이투자증권으로 바뀌었다. 사업성 논란이 제기됐음에도 한국신용평가와 서울신용평가는 도의 지급 보증을 믿고 해당 ABCP에 A1 등급을 매겼다.

○정치 이슈가 시장 불신으로 번져

레고랜드는 일곱 번 개장 시기를 미룬 끝에 지난 5월 문을 열었다. 문제는 7월 김진태 강원지사(사진)가 취임한 이후 벌어졌다. 김 지사는 지난달 28일 “레고랜드의 빚보증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법원에 GJC의 회생 신청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법정 관리인이 공사 자산을 매각하도록 해 대출금을 갚겠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김 지사가 전임자인 최 전 지사의 치적 사업을 지우기 위해 강수를 뒀다는 해석이 나왔다.

GJC의 회생 신청으로 ABCP는 차환 발행이 불가능해졌고, 신용평가사들은 신용등급을 A등급에서 C등급으로 강등했다. 지자체가 보증한 ABCP가 지급 불능에 빠진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도가 지급 보증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서 지난 5일 아이원제일차가 발행한 2050억원의 ABCP는 최종 부도 처리됐다.

최고 신용등급을 받은 ABCP의 부도 소식은 시장 전반에 불신을 퍼뜨렸다. 기업어음(CP)과 자산담보부단기채(ABSTB) 차환 금리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고,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은 손실을 막기 위해 채권 매각에 나서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분양이 끝난 우량 사업장도 ‘AB’자만 붙으면 안 팔리는 실정”이라며 “가뜩이나 살얼음판이던 시장에 레고랜드 사태가 기름을 끼얹으면서 부동산 관련 유동화물뿐만 아니라 채권시장 전반이 무너지고 있다”고 말했다.

사태가 커지자 김 지사는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한 ABCP 2050억원에 대해 전액 상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다음달 예산을 편성하고 늦어도 내년 1월 29일까지 상환 계획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GJC에 대한 법원 회생 신청도 동시에 진행한다. 새로운 인수자가 나타나고 매각 대금이 들어오면 만기 전 원금을 상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도의 설명이다.

그러나 채권시장이 단기간에 안정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이미 회사채 시장 전반으로 유동성 위기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운용사와 기관들이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며 “시장에 신뢰가 돌아오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김 지사도 이렇게까지 일이 커질지는 몰랐겠지만 정치인의 무책임한 판단으로 경제적 피해자만 양산하게 됐다”고 꼬집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