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하이에 내려진 코로나19 봉쇄 조치로 인해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셧다운'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다. 농심, 오리온 등 몇몇 기업은 공장 가동을 일부 재개하기도 했지만, 물류·교통 통제 강화로 조업 정상화까지는 상당시일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국 소비재 기업들은 올 들어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수혜를 기대했지만,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오히려 매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KOTRA와 각 기업들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2500여 곳이다. 이중 대규모 소비재 제조공장을 갖춘 곳은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농심, 오리온 등이다. 이들 기업은 지난 달 28일부터 이날까지 17일째 공장을 정상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농심의 경우 지난 11일 중국 정부가 봉쇄령을 완화한 이후 12일부터 일부 생산라인 가동을 재개했다. 농심 관계자는 "이동이 가능한 구역에 거주하는 일부 직원이 다시 출근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오리온도 지난 13일부터 부분적으로 생산라인을 다시 돌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모레퍼시픽 등 대부분 기업들은 여전히 공장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비상이 걸렸다. 상하이에 진출한 기업 관계자는 "당초 예상보다 가동 중단 상태가 길어지고 있다"며 "다른 지역 공장의 생산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연초 세운 경영 계획을 수정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리오프닝 기대감이 컸던 화장품, 식품 등 소비재와 관련된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중국 내 판매 뿐 아니라 생산까지 차질을 빚게 되면서, 증권가에서 실적 예상치와 투자의견이 잇따라 하향 조정되고 있다.

중국 현지 화장품 브랜드의 제조자개발생산(ODM)·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을 하고 있는 코스맥스는 상하이법인을 중심으로 한 중국사업의 급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코스맥스 해외법인 중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상하이법인은 지난해 매출액이 5093억원으로 전년대비 50% 증가했다. 유안타증권은 코스맥스의 1분기 연결 실적이 상하이 셧다운 영향 등으로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보다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재고가 충분해 상하이 공장 셧다운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게 회사측 입장이지만 KB증권과 현대차증권은 잇따라 매출 성장률 추정치와 이익 추정치를 낮춰 잡았다. 아모레퍼시픽 상하이 법인의 지난해 매출은 1322억원, 순이익은 158억원을 올렸다. 순이익은 전년비 38.9% 감소했다.

지난해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하이법인의 이익이 95.8%나 급감했던 농심은 올해도 회복세가 더딜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농심의 중국법인은 전반적인 현지 소비 둔화의 영향으로 성장 폭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지 기업들은 봉쇄 여파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국 기업인은 "언제까지 기다려야하는지 알 수 없는 것이 가장 힘든 점"이라며 "중국 정책 리스크를 온 몸으로 체감한 기업인들이 생산기지를 다른 국가로 옮겨야하는 것이 아닌가 고민이 들 정도"라고 토로했다.

현지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이준용 상하이 한국상회 회장은 "중국 정부가 봉쇄령을 일부 완화했지만 생산공장을 정상화하기까지는 최소 2~3주 정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당장 먹고 마실 것을 해결하지 못하는 혼자 사는 유학생 등 한인들을 위해 기업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