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은행권이 청년에게 연 10% 고금리 혜택을 주겠다며 지난달 선보인 청년희망적금에 무려 300만 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렸다. 당초 정부 예상 인원의 여덟 배에 달하는 가입 수요가 단기간 집중되면서 현장 혼란과 행정력 낭비를 초래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된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4일까지 약 열흘간 시중은행 11곳에서 신청을 마감한 결과 총 290만 명이 최종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가입을 철회한 신청자 등을 제외한 유효 계좌만 집계한 수치다. 정부가 올 한 해 가입할 것으로 추정한 예상 수요(38만 명)의 7.6배에 달한다.

청년희망적금은 은행 기본금리(연 5%)에다 정부 저축장려금, 이자소득세 비과세 등까지 합쳐 일반 적금 기준으로 연 10% 수준의 고금리 혜택을 제공한다. 연간 총급여 36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청년이 가입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전예약에만 200만 명이 참여하는 등 과열 조짐을 보였고 출시 당일에도 가입 신청이 쇄도해 일부 은행 앱이 불통되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정부는 한정된 예산 탓에 인원을 제한하려던 기존 방침을 바꿔 신청 마감일(4일)까지 접수를 마친 신청자에 대해 모두 적금에 정상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취업해 아직 국세청 소득 증빙 자료가 없는 관계로 가입 기회 자체가 봉쇄된 새내기 직장인 등이 강한 불만을 터뜨리자 오는 7월 가입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 사업을 준비하던 작년 하반기엔 이 같은 수요 폭증을 예측하기가 쉽진 않았을 것”이라면서도 “지난달 초 사전예약을 통해 달라진 상황을 파악하고도 제대로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탓에 혼란이 가중된 측면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