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경제 5개 학회 공동심포지엄
"디지털전환 능력이 산업경쟁력 좌우…전문인력 양성해야"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한국의 산업,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정부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구자현 한국개발연구원(KDI) 지식경제부장은 25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한국경영학회·경제학회·금융정보학회·금융학회·재무학회가 연 '데이터 경제 시대의 기업 경영과 향후 정책과제' 심포지엄에서 이렇게 발표했다.

구 부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빨라지는 가운데 디지털 전환 역량은 산업,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며 "데이터는 디지털 전환의 연료로서 국가와 기업의 디지털 전환 성패를 결정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은 현재 디지털 전환 역량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기업 비율은 전체 조사 대상 34개국 가운데 30위에 머문다.

또 정보통신(IT) 시장 전문 조사기관 KRG의 혁신 기술 도입 수준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기업의 빅데이터 도입 비율은 16%로, 국제적 기업(53%)보다 뒤처져 있다.

구 부장은 "국내에서는 특히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이 매우 부족하다"며 "정부는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해야 하고, 디지털·데이터 분석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지난달 실태조사에서 국내 기업 1천345곳 중 32.8%는 디지털 전환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 '전문인력 양성 및 확보'를 꼽았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강형구 한양대 경영대 교수와 정순섭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발표에 나섰다.

강 교수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 가치의 차이는 갈수록 증가한다"며 "데이터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 시스템은 조직과 개인의 오류를 극복하게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거래 대상으로서 데이터의 법적 취급에 관해 소유권에 준하는 지배권을 인정하거나 거래 당사자의 계약에 기반을 둔 규율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며 "이용자 관점에서 규제의 중복을 피해야 하고, 정보보호법 체계도 단순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