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기획 제공.
대홍기획 제공.
광고가 진지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다. 재미 위주의 B급 광고 대신 신뢰와 위로, 희망의 메시지를 던지는 광고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명륜진사갈비는 지난 2월 중순 배우 이순재 씨를 모델로 한 광고를 공개했다. 지난해까지는 한 걸그룹 멤버가 '갈비댄스'를 추며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진정성을 한껏 강조했다. "나보고 국민배우라고 하는데, 난 진심을 다했을 뿐이야. 진심을 담으면 모두 알아보거든. 맛도 마찬가지야." 이 영상은 공개 3개월이 넘은 현재 조회수 2200만회를 넘었다.

광고를 기획한 김정환 대홍기획 팀장은 "브랜드의 진정성을 강조하기 위해 신뢰도가 높은 국민 배우 이순재 씨를 광고 모델로 기용했고 가족들과 함께 먹으며 정을 나누는 모습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광고업계는 'B급 광고' 전성시대였다. MZ세대(1980~2000년대 초반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와 그 이후에 태어난 Z세대의 눈길을 끌고 웃음을 터뜨리기 위해 독특한 설정과 비속어가 거리낌 없이 등장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상황이 바뀌었다. 확진자들이 매일 수십 명씩 나오고 사망자가 발생하는데 마냥 화려하고 웃긴 광고를 내보낼 수 없었다. 위생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며 소비자들도 기업에 진정성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HS애드 제공.
HS애드 제공.
본래 신뢰도가 핵심 가치였던 금융업계에서는 직원들의 진정성을 강조하는 광고를 제작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이 지난달 공개한 광고에는 실제 기업은행 직원이 나온다.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을 신청하려 은행 지점에 줄을 선 소상공인들의 상담을 해준다. 내레이션도 직접 한다. "사람이 눈을 보면 얼마나 간절한 지 느껴지잖아요. 꼭 다 해드리고 싶었습니다." 오렌지라이프도 FC(설계사)가 고객을 위해 끊임없이 공부와 자기 개발을 하는 콘셉트의 광고를 지난달 선보였다.

신한금융그룹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의 온라인 진출을 돕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홍보하기 위해 소상공인 한 명 한 명의 사연을 짧은 영상으로 제작해 광고 시리즈로 내보내고 있다. 지난주 공개된 첫 번째 시리즈는 힘든 몸으로 떡집을 해 딸을 키워냈지만 코로나19로 영업을 하지 못하고 있는 아버지의 이야기였다. 1분 남짓한 분량의 이 영상 조회수는 150만회가 넘었다.
제일기획 제공.
제일기획 제공.
한경은 제일기획 솔루션부문 팀장은 "사회에 불신과 공포가 퍼진 지금같은 상황에서는 위로와 희망이라는, 전통적이지만 진중하고 진정성 있는 메세지가 더 파장이 있다"고 설명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