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약국들이 공적 마스크를 장당 1100원에 공급받아 1500원에 판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 1곳당 하루 평균 공급치인 250장을 판다면 평균 10만원의 마진을 남기는 셈이다.

정부는 9일 '공적마스크 공급권·가격구조 관련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조달청의 마스크 제조업체와 공적 마스크 계약단가는 900∼1000원, 정부가 약국 유통채널로 선정한 의약품 제조업체 지오영과 백제약품의 약국 공급가는 1100원이라고 밝혔다.

공적마스크의 소비자가격이 1장당 1500원이므로 약국은 마스크 1장당 400원의 마진을 남기게 된다. 또 약국에 공적 마스크가 하루에 560만장 공급되는 점을 고려하면, 2만3000여개 약국의 마스크 판매에 따른 마진은 장당 400원씩 하루 22억4000만원이 되는 셈이다.

약국 1곳이 하루 평균 공급되는 250장을 모두 판다면 하루 10만원의 마진을 남긴다는 계산이 나온다.

의약품 제조업체 지오영과 백제약품은 약국에 공급하는 공적마스크 1장당 100∼200원의 마진을 남긴다. 하루 평균 560만장을 공급하므로 하루 마진은 5억6000만원∼11억2000만원이 된다.

정부는 지오영과 백제약품의 유통마진에 대해 전국적으로 급증한 물량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매일 밤샘 배송과 작업 등에 따른 물류비, 인건비 인상분 등을 고려할 때 과도한 가격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지오영과 백제약품의 독점적 논란과 관련해선 "전국적 약국 유통망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지오영과 백제약품을 유통채널로 선정하는 게 불가피했다"며 "유통경로를 효과적으로 추적·관리하고 매점매석·폭리 등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담업체의 관리·유통이 효율적이다"고 설명했다.

현재 지오영 직거래 약국은 국내 최대로 전체 약국의 60% 수준인 전국 1만4000여개에 달했다. 또 이번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과 함께 거래 약국을 1만7000개로 확대했다. 백제약품을 통해서는 나머지 약국 5000여곳에 공적 마스크를 공급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