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후 임금근로자가 취업을 유지하는 '생존확률'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최경수 연구위원이 6일 내놓은 '노동시장 유연화의 고용효과 분석'에 따르면 임금근로자가 다음달(익월)에도 취업상태에 머무를 확률은 97년위기 이전의 약 97.5%에서 위기기간에 95%대(98년 95.8%, 99년 95.9%)로 하락한 이후 2000∼2001년에는 96.5% 수준에 머물렀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직근로자의 익월 취업확률은 99.1%로 경제위기 이후에도 이전과 차이가 없었으며, 다만 98년에만 98.6%로 크게 하락했다. 그러나 임시.일용직은 익월에도 취업을 유지할 확률이 하락했으며 이러한 변화는 특히 일용직 근로자가 심했다. 임시직근로자들의 익월 취업확률은 위기 이전 96∼97%에서 2000∼2001년 95∼96%로 다소 감소했으나 일용직은 약 93%에서 약 90%로 급격히 떨어졌다. 이와 함께 경제위기 이전에는 익월에 취업한 실업자의 약 20%가 상용직으로 취업했으나, 위기 이후인 2000∼2001년에는 그 비율이 10%를 약간 상회하는데 그쳤다. 최 연구위원은 "실업자의 취업을 위한 고용창출은 대부분 일용직 혹은 임시직에서 이뤄졌으며 상용직 고용창출은 실업해소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95년 7월과 99년 7월 임금근로자의 2년간 취업상태를 분석한 결과 평균 취업지속기간이 99년 표본은 7.5개월로 97년 표본 8.5개월에 비해 단축됐다. 최 연구위원은 "임금근로자의 생존확률 하락은 상용직보다 주로 임시직과 일용직에 있어서의 생존확률 하락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위기 이후 노동력의 유동성은 크게 증가했으나 노동시장 규제 회피의목적에서 임시.일용직 중심으로 고용이 확대되는 현상은 고용의 개선 및 경제효율성제고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임금근로자의 익월 취업확률(단위:%) ──────────────────────────────────── 93 94 95 96 97 98 99 2000 2001 ──────────────────────────────────── 임금근로자 97.5 97.2 97.7 97.9 97.6 95.8 95.9 96.6 96.4 ──────────────────────────────────── 상 용 직 99.1 99.2 99.1 99.1 99.1 98.6 99.1 99.1 99.1 임 시 직 96.4 96.7 96.7 97.0 96.6 94.9 95.7 96.3 95.7 일 용 직 93.5 93.7 93.6 94.4 93.6 86.7 88.2 91.0 89.7 ────────────────────────────────────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