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혜규 작품 120점으로 꽉 채운 런던 최고 현대미술 전시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조민선의 런던 리뷰 오브 아트
양혜규: 윤년 (Haegue Yang: Leap Year)
런던 헤이워드를 빛과 소리로 접수한 양혜규의 20년
120여 점의 양혜규 작품 세계 총망라
소리나는 조각에서 콜라주, 비디오, 음향까지
"엉뚱하고 재밌는 전시" vs "거대하고 붐비기만 해"
엇갈리 평가에 양혜규 "해석은 관람객의 자유"
양혜규: 윤년 (Haegue Yang: Leap Year)
런던 헤이워드를 빛과 소리로 접수한 양혜규의 20년
120여 점의 양혜규 작품 세계 총망라
소리나는 조각에서 콜라주, 비디오, 음향까지
"엉뚱하고 재밌는 전시" vs "거대하고 붐비기만 해"
엇갈리 평가에 양혜규 "해석은 관람객의 자유"
영국 런던에 복합문화공간 사우스뱅크센터에 위치한 헤이워드 갤러리는 런던 최고의 현대미술 전시 공간 중 한 곳이다. 이곳에 한국인 작가 양혜규의 개인전 '윤년(Leap Year)'이 막을 올렸다.
양혜규가 지난 20여년간 작가로 일궈낸 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명하는 첫 서베이 전시다. 그의 작품 120여 점이 갤러리 전체를 채웠다. 작가가 이번 전시를 위해 만든 커미션 작품부터, 콜라주, 텍스트, 비디오, 벽지, 음향까지 아우르는 그의 세계를 탐구할 수 있다. 이 전시는 헤이워드 수석 큐레이터 융 마와 양혜규 작가가 2년간 함께 작업한 결과물이다. '윤년'이라는 타이틀과 첫 콘셉트는 함께 정하고, 이후엔 갤러리와 큐레이터에게 전권을 맡겨 전시를 완성했다.
독일 베를린에 거주하며 독일과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는 양혜규는 세계 100대 작가(독일 캐피탈 선정)로 꼽힌다. 다소 난해하고 철학적인 작품 세계로 알려져 있다. 그의 세계를 탐구하는 건 상당히 품이 드는 작업이지만, 일단 전시 공간에 진입하는 것만으로 시공간을 넘고, 입체와 평면을 오가며 다각도로 생각이 확장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전시는 커튼 형태로 드리워진 방울을 통과하며 시작된다. 딸랑딸랑 소리가 들리면서 그의 작품세계로 접어드는 ‘의식(ritual)’ 같은 장치다. 2013년부터 시작된 그의 <소리 나는 조각 Sonic Sculptures> 시리즈의 일부로, 작가는 방울 소리로 관람객에게 말 걸기를 시도한다. 동양에서 방울은 문화적이고 사회적이며 정신적인 의미를 띄는데, 이를 매개로 세상이 서로 연결 가능하다는 작가의 주제 의식을 담고 있다. 방울을 통과하면,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오브제들이 낯선 형태로 조합되어 있다. 빨래 건조대와 전깃줄 그리고 반짝이는 전구가 여러 포즈를 취하며 맞이한다. 건조대 프레임은 인체의 뼈, 전구는 장기, 전깃줄은 혈관으로 보여 기발하면서도 섬뜩하다. 집마다 배치된 가장 일상적인 사물을 최대한 낯설게 조합해 보여주려는 작가의 의도가 엿보인다.
1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사우스뱅크 엘리자베스홀에서 열린 토크에서 양혜규 작가는 “2006년 당시 스튜디오도 없고 집이 작업공간이었다. 작품과 삶의 경계가 없었기 때문에 일상 용품을 작품의 오브제로 가져와서 만들었다”고 했다.
빨래건조대는 되도록 접어서 숨기는 사물인데 작가는 이를 자기표현의 매개로 바꿔, 새로운 존재감을 입혔다. 텔레그래프는 "한국 작가가 예술적인 자연스러움으로 놀랍고도 평범한 것들로부터 조각과 설치 미술을 소환해 낸다"고 평가했다. 시작부터 발랄하고 엉뚱한 전시는 계속 이어진다. 다음 전시관으로 이동하자 컬러풀한 라탄 소재를 엮어 만든 작품(The Randing Intermediates - Underbelly Alienage Duo)이 관객들을 맞는다. 이 작품은 필리핀의 현지 장인과 협력, 고유한 직조 방식으로 완성했다. 블라인드를 활용한 설치 작품 <의상 동차 Dress Vehicles> 시리즈가 공간에 함께 어우러진다. 블라인드와 LED 조명, 방울, 파란색 벽면, 작품에 달린 바퀴 등이 동적인 느낌을 더한다. 때때로 갤러리 스태프들이 장갑을 끼고 작품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며 움직임을 만드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한국의 샤머니즘을 연상시키는 문양과 색채의 한지 작업 <황홀망> 등의 작품은 민속성을 드러낸다. 다만 한국적인 민속성에 머물지 않고, 동서양, 현재와 과거를 넘나든다. 융 마 큐레이터는 "전시는 시기적으로, 재료에서도 모든 것이 혼합되어 있다"며 "다층적인 양혜규의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날 하이라이트는 신작 <윤에 따른 엇갈린 랑데부>였다. 작곡가 윤이상의 오보에와 첼로를 위한 이중협주곡 ‘견우와 직녀 이야기’에 맞춰 조명이 움직인다. 음악, 빛, 초대형 블라인드 설치작품이 어우러져 펼쳐지는 설치작으로 자연스럽게 관람객의 사고를 자극한다. 이날 토크에서 작가는 “윤이상은 (한국) 독재정권의 탄압을 받아 독일로 망명한, 드라마틱한 일생으로 유명한 인물”이라며 “윤이상의 음악적 성과를 다루면 어떨까 제안받아 작업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엄청난 규모의 난민들로 몸살을 앓는 독일 등 유럽 사회에서 뜨거운 감자인 ‘디아스포라’를 한국 음악가의 경험과 성취를 통해 재해석한 셈이다.
양혜규는 아티스트 개인으로서의 과거를 회상했다. 이제 작품이 수억 원대를 오가는 세계적인 작가가 되었지만, 2006년쯤 작품 활동을 그만둘까 했다는 얘기도 들려줬다. 당시 작가로 초청도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그는 오히려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스스로 증명하고 시작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고 밝혔다. 마감 기한이나 예산 같은 틀이 없는 상태에서 자기만의 작품 세계를 창조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한 인식이 지금의 양혜규를 만들었다.
그는 본능적으로 즉흥적으로, 느끼는 대로 작업하는 스타일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의상 동차 Dress Vehicles> 시리즈에 바퀴를 단 이유에 대해서도 “보시다시피 내가 키가 크지 않다. 작업할 때 움직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달았다”고 했다. 그의 작품 중 한 작품을 꼽아주겠냐는 객석의 질문에는 단호하게 “가능하지 않다(not possible)”고 잘라 말했다. 융 마 큐레이터는 “양 작가의 작품은 하나의 작품에서 끝나지 않고 다층적이고 연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현지 언론의 반응도 흥미롭다. 현지에선 양혜규와 헤이워드의 조합에도 관심을 보인다. 헤이워드는 전 세계 예술가들의 새롭고 도전적인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곳으로 유명하다. 텔레그래프는 “헤이워드는 초현실적이고 심지어 엉뚱한 성격의 전시를 개최하는 데 두각을 보인다. 양혜규의 작품처럼 재미있고 때로 엉뚱한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것은 갤러리가 행복한 공간이라는 것”이라고 평했다. 반면 가디언은 “거대하고 붐비면서 보람이 없다”고 혹평했다.
양 작가는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비평에도 특유의 쿨한 태도를 견지했다. 그는 “내 작품을 향한 해석은 그들의 영역이다. 내게 작가의 저작권은 있지만 해석은 관람객의 자유에 달려있다. 설명하는 것을 멈추고 (작품을 보는 이들에게) 맡기고 싶다”고 말했다. 전시는 2024년 10월 9일부터 내년 1월 5일까지다. 런던=조민선 아르떼 객원기자
양혜규가 지난 20여년간 작가로 일궈낸 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명하는 첫 서베이 전시다. 그의 작품 120여 점이 갤러리 전체를 채웠다. 작가가 이번 전시를 위해 만든 커미션 작품부터, 콜라주, 텍스트, 비디오, 벽지, 음향까지 아우르는 그의 세계를 탐구할 수 있다. 이 전시는 헤이워드 수석 큐레이터 융 마와 양혜규 작가가 2년간 함께 작업한 결과물이다. '윤년'이라는 타이틀과 첫 콘셉트는 함께 정하고, 이후엔 갤러리와 큐레이터에게 전권을 맡겨 전시를 완성했다.
독일 베를린에 거주하며 독일과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는 양혜규는 세계 100대 작가(독일 캐피탈 선정)로 꼽힌다. 다소 난해하고 철학적인 작품 세계로 알려져 있다. 그의 세계를 탐구하는 건 상당히 품이 드는 작업이지만, 일단 전시 공간에 진입하는 것만으로 시공간을 넘고, 입체와 평면을 오가며 다각도로 생각이 확장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전시는 커튼 형태로 드리워진 방울을 통과하며 시작된다. 딸랑딸랑 소리가 들리면서 그의 작품세계로 접어드는 ‘의식(ritual)’ 같은 장치다. 2013년부터 시작된 그의 <소리 나는 조각 Sonic Sculptures> 시리즈의 일부로, 작가는 방울 소리로 관람객에게 말 걸기를 시도한다. 동양에서 방울은 문화적이고 사회적이며 정신적인 의미를 띄는데, 이를 매개로 세상이 서로 연결 가능하다는 작가의 주제 의식을 담고 있다. 방울을 통과하면,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오브제들이 낯선 형태로 조합되어 있다. 빨래 건조대와 전깃줄 그리고 반짝이는 전구가 여러 포즈를 취하며 맞이한다. 건조대 프레임은 인체의 뼈, 전구는 장기, 전깃줄은 혈관으로 보여 기발하면서도 섬뜩하다. 집마다 배치된 가장 일상적인 사물을 최대한 낯설게 조합해 보여주려는 작가의 의도가 엿보인다.
1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사우스뱅크 엘리자베스홀에서 열린 토크에서 양혜규 작가는 “2006년 당시 스튜디오도 없고 집이 작업공간이었다. 작품과 삶의 경계가 없었기 때문에 일상 용품을 작품의 오브제로 가져와서 만들었다”고 했다.
빨래건조대는 되도록 접어서 숨기는 사물인데 작가는 이를 자기표현의 매개로 바꿔, 새로운 존재감을 입혔다. 텔레그래프는 "한국 작가가 예술적인 자연스러움으로 놀랍고도 평범한 것들로부터 조각과 설치 미술을 소환해 낸다"고 평가했다. 시작부터 발랄하고 엉뚱한 전시는 계속 이어진다. 다음 전시관으로 이동하자 컬러풀한 라탄 소재를 엮어 만든 작품(The Randing Intermediates - Underbelly Alienage Duo)이 관객들을 맞는다. 이 작품은 필리핀의 현지 장인과 협력, 고유한 직조 방식으로 완성했다. 블라인드를 활용한 설치 작품 <의상 동차 Dress Vehicles> 시리즈가 공간에 함께 어우러진다. 블라인드와 LED 조명, 방울, 파란색 벽면, 작품에 달린 바퀴 등이 동적인 느낌을 더한다. 때때로 갤러리 스태프들이 장갑을 끼고 작품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며 움직임을 만드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한국의 샤머니즘을 연상시키는 문양과 색채의 한지 작업 <황홀망> 등의 작품은 민속성을 드러낸다. 다만 한국적인 민속성에 머물지 않고, 동서양, 현재와 과거를 넘나든다. 융 마 큐레이터는 "전시는 시기적으로, 재료에서도 모든 것이 혼합되어 있다"며 "다층적인 양혜규의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날 하이라이트는 신작 <윤에 따른 엇갈린 랑데부>였다. 작곡가 윤이상의 오보에와 첼로를 위한 이중협주곡 ‘견우와 직녀 이야기’에 맞춰 조명이 움직인다. 음악, 빛, 초대형 블라인드 설치작품이 어우러져 펼쳐지는 설치작으로 자연스럽게 관람객의 사고를 자극한다. 이날 토크에서 작가는 “윤이상은 (한국) 독재정권의 탄압을 받아 독일로 망명한, 드라마틱한 일생으로 유명한 인물”이라며 “윤이상의 음악적 성과를 다루면 어떨까 제안받아 작업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엄청난 규모의 난민들로 몸살을 앓는 독일 등 유럽 사회에서 뜨거운 감자인 ‘디아스포라’를 한국 음악가의 경험과 성취를 통해 재해석한 셈이다.
양혜규는 아티스트 개인으로서의 과거를 회상했다. 이제 작품이 수억 원대를 오가는 세계적인 작가가 되었지만, 2006년쯤 작품 활동을 그만둘까 했다는 얘기도 들려줬다. 당시 작가로 초청도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그는 오히려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스스로 증명하고 시작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고 밝혔다. 마감 기한이나 예산 같은 틀이 없는 상태에서 자기만의 작품 세계를 창조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한 인식이 지금의 양혜규를 만들었다.
그는 본능적으로 즉흥적으로, 느끼는 대로 작업하는 스타일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의상 동차 Dress Vehicles> 시리즈에 바퀴를 단 이유에 대해서도 “보시다시피 내가 키가 크지 않다. 작업할 때 움직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달았다”고 했다. 그의 작품 중 한 작품을 꼽아주겠냐는 객석의 질문에는 단호하게 “가능하지 않다(not possible)”고 잘라 말했다. 융 마 큐레이터는 “양 작가의 작품은 하나의 작품에서 끝나지 않고 다층적이고 연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현지 언론의 반응도 흥미롭다. 현지에선 양혜규와 헤이워드의 조합에도 관심을 보인다. 헤이워드는 전 세계 예술가들의 새롭고 도전적인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곳으로 유명하다. 텔레그래프는 “헤이워드는 초현실적이고 심지어 엉뚱한 성격의 전시를 개최하는 데 두각을 보인다. 양혜규의 작품처럼 재미있고 때로 엉뚱한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것은 갤러리가 행복한 공간이라는 것”이라고 평했다. 반면 가디언은 “거대하고 붐비면서 보람이 없다”고 혹평했다.
양 작가는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비평에도 특유의 쿨한 태도를 견지했다. 그는 “내 작품을 향한 해석은 그들의 영역이다. 내게 작가의 저작권은 있지만 해석은 관람객의 자유에 달려있다. 설명하는 것을 멈추고 (작품을 보는 이들에게) 맡기고 싶다”고 말했다. 전시는 2024년 10월 9일부터 내년 1월 5일까지다. 런던=조민선 아르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