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MO 2024]올해 여성종양학상에 안명주 삼성서울병원 교수…한국인 첫 수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명주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세계 3대 암 학술대회로 꼽히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4)에서 '여성종양학상(Women for Oncology Award)'을 받았다. 국내 의학자가 ESMO 수상자로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ESMO 메인 행사장(바르셀로나홀)에선 올해의 의학자들에 대한 수상식이 마련됐다.
안 교수는 미국 다나파버 암 연구소의 앤 파트리지 교수,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세레나 닉 제이널 교수, 네덜란드 암 연구소의 존 한넨 연구원 등 3명의 의학자와 함께 단상에 올랐다. 올해 여성종양학상을 받기 위해서다. 대한폐암학회장을 맡고 있는 안 교수는 폐암 치료와 효과 예측에 도움을 주는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 물질 발굴을 위한 초기 임상시험, 약물 재창출, 비소세포폐암 유전체 분석 등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수상 소감을 통해 그는 한국 사회의 가부장적인 문화 탓에 학술 성과를 내는 데 필요한 멘토링, 네트워킹의 기회가 남성보다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100미터 달리기에 비유하면 남성은 항상 50미터 앞에서 출발했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고 경쟁하기 위해 더 열심히 일했다"고 설명한 그는 "성 불평등을 극복하고 성공하기 위해 성실함, 공정함, 윤리 등이 중요했다"고 회상했다.
특정 기업의 이익보다 환자에게 도움되는 연구를 위해 약물 재창출이나 희귀질환 연구 등에 집중했다고도 안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아시아인에게 많은 폐암 EGFR 돌연변이 연구 등에서 큰 성과를 냈다. 3세대 EGFR 표적 치료제인 오시머티닙(제품명 타그리소) 임상시험에 참여해 폐암 치료 표준 지침을 변경을 이끌었다.
액체생검을 통한 순환종양DNA(ctDNA) 모니터링 연구를 통해 돌연변이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을 줬다.
안 교수는 "이런 성과는 동료들의 협력과 지원 없이는 불가능 했을 것"이라며 "매일 환자를 돌보면서 아직 많은 미해결 과제들이 있다는 것을 느낀다"고 했다. 환자를 돌보는 의사는 늘 배고픈 자세로 새 지식을 쌓고 혁신적인 방법을 찾아 '치료 공백'을 메워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 종양학자이자 멘토였던 김인순 박사와 김상희 교수 등에게 감사를 표한 그는 "앞으로 환자들의 치료 공백을 메워 더 나은 치료법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바르셀로나=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이 기사는 한경닷컴 바이오 전문채널 <한경바이오인사이트>에 2024년 9월 13일 22시 21분 게재됐습니다.
1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ESMO 메인 행사장(바르셀로나홀)에선 올해의 의학자들에 대한 수상식이 마련됐다.
안 교수는 미국 다나파버 암 연구소의 앤 파트리지 교수,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세레나 닉 제이널 교수, 네덜란드 암 연구소의 존 한넨 연구원 등 3명의 의학자와 함께 단상에 올랐다. 올해 여성종양학상을 받기 위해서다. 대한폐암학회장을 맡고 있는 안 교수는 폐암 치료와 효과 예측에 도움을 주는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 물질 발굴을 위한 초기 임상시험, 약물 재창출, 비소세포폐암 유전체 분석 등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수상 소감을 통해 그는 한국 사회의 가부장적인 문화 탓에 학술 성과를 내는 데 필요한 멘토링, 네트워킹의 기회가 남성보다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100미터 달리기에 비유하면 남성은 항상 50미터 앞에서 출발했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고 경쟁하기 위해 더 열심히 일했다"고 설명한 그는 "성 불평등을 극복하고 성공하기 위해 성실함, 공정함, 윤리 등이 중요했다"고 회상했다.
특정 기업의 이익보다 환자에게 도움되는 연구를 위해 약물 재창출이나 희귀질환 연구 등에 집중했다고도 안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아시아인에게 많은 폐암 EGFR 돌연변이 연구 등에서 큰 성과를 냈다. 3세대 EGFR 표적 치료제인 오시머티닙(제품명 타그리소) 임상시험에 참여해 폐암 치료 표준 지침을 변경을 이끌었다.
액체생검을 통한 순환종양DNA(ctDNA) 모니터링 연구를 통해 돌연변이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을 줬다.
안 교수는 "이런 성과는 동료들의 협력과 지원 없이는 불가능 했을 것"이라며 "매일 환자를 돌보면서 아직 많은 미해결 과제들이 있다는 것을 느낀다"고 했다. 환자를 돌보는 의사는 늘 배고픈 자세로 새 지식을 쌓고 혁신적인 방법을 찾아 '치료 공백'을 메워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 종양학자이자 멘토였던 김인순 박사와 김상희 교수 등에게 감사를 표한 그는 "앞으로 환자들의 치료 공백을 메워 더 나은 치료법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바르셀로나=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이 기사는 한경닷컴 바이오 전문채널 <한경바이오인사이트>에 2024년 9월 13일 22시 21분 게재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