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규하는 이집트 미라…의문 풀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천500년 전 사망한 한 고대 이집트 여성의 미라가 입을 크게 벌린 채 절규하는 듯한 표정으로 발견된 것과 관련, 죽음 당시의 고통 때문이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사하르 살림 카이로 대학교 방사선과 교수 연구팀은 고대 이집트 여성의 미라가 왜 입을 크게 벌린 표정을 하고 있는지 컴퓨터단층촬영(CT)과 X선 회절 등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고통스러운 죽음 또는 정서적인 스트레스 때문이었을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메디신'에 실렸다.
입을 벌린 여성의 미라는 1935년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하트셉수트 여왕 시대의 건축가 세넨무트 무덤 아래의 나무 관에서 발견됐다. 인근에서는 세넨무트의 어머니와 친척들의 무덤도 함께 발견돼, 이 여성 역시 세넨무트의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생전 키가 155㎝ 정도였을 이 여성이 48세 정도에 사망했으며 척추 등에 가벼운 관절염을 앓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도 CT를 통해 밝혀냈다.
동시대 지체가 높은 계층의 미라와는 달리 몸 안에 장기가 제거되지 않은 채 그대로 들어있고, 방부 처리를 위한 절개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것도 특징이었다.
하지만, 금과 은으로 된 풍뎅이 모양의 반지 '스카라베'를 낀 채 매장됐으며 방부 처리 재료로 값비싼 향나무와 헤나 염료가 사용된 것으로 분석돼 이 여성 역시 상류층이었을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 여성 미라에서 무엇보다 두드러진 특징은 에드바르 뭉크의 그림 '절규'의 주인공을 연상시키는 크게 벌어진 입이다.
연구팀은 이 여성이 사망 당시 극심한 고통이나 정서적 스트레스를 겪었으며, 즉각적으로 사후 경직이 나타나면서 그 고통의 표정이 그대로 표정이 남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살림 교수는 "방부 처리를 맡았던 사람들이 시신의 입을 다물어주지 못했고, 시신이 부패하거나 이완되기 전에 미라화가 진행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다만 이 같은 가설에 대해 카이로 아메리칸 대학교의 살리마 이크람 교수는 "사후 경직 때문에 방부 처리를 맡은 사람들이 이 표정을 영원히 놔뒀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미라화 중 건조 작업에는 40일이 걸리므로 그동안 충분히 이목구비를 재배열할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사진=사하르 살림 교수 홈페이지 캡처)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사하르 살림 카이로 대학교 방사선과 교수 연구팀은 고대 이집트 여성의 미라가 왜 입을 크게 벌린 표정을 하고 있는지 컴퓨터단층촬영(CT)과 X선 회절 등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고통스러운 죽음 또는 정서적인 스트레스 때문이었을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메디신'에 실렸다.
입을 벌린 여성의 미라는 1935년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하트셉수트 여왕 시대의 건축가 세넨무트 무덤 아래의 나무 관에서 발견됐다. 인근에서는 세넨무트의 어머니와 친척들의 무덤도 함께 발견돼, 이 여성 역시 세넨무트의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생전 키가 155㎝ 정도였을 이 여성이 48세 정도에 사망했으며 척추 등에 가벼운 관절염을 앓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도 CT를 통해 밝혀냈다.
동시대 지체가 높은 계층의 미라와는 달리 몸 안에 장기가 제거되지 않은 채 그대로 들어있고, 방부 처리를 위한 절개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것도 특징이었다.
하지만, 금과 은으로 된 풍뎅이 모양의 반지 '스카라베'를 낀 채 매장됐으며 방부 처리 재료로 값비싼 향나무와 헤나 염료가 사용된 것으로 분석돼 이 여성 역시 상류층이었을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 여성 미라에서 무엇보다 두드러진 특징은 에드바르 뭉크의 그림 '절규'의 주인공을 연상시키는 크게 벌어진 입이다.
연구팀은 이 여성이 사망 당시 극심한 고통이나 정서적 스트레스를 겪었으며, 즉각적으로 사후 경직이 나타나면서 그 고통의 표정이 그대로 표정이 남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살림 교수는 "방부 처리를 맡았던 사람들이 시신의 입을 다물어주지 못했고, 시신이 부패하거나 이완되기 전에 미라화가 진행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다만 이 같은 가설에 대해 카이로 아메리칸 대학교의 살리마 이크람 교수는 "사후 경직 때문에 방부 처리를 맡은 사람들이 이 표정을 영원히 놔뒀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미라화 중 건조 작업에는 40일이 걸리므로 그동안 충분히 이목구비를 재배열할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사진=사하르 살림 교수 홈페이지 캡처)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