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AI 기반 자동전화시스템으로 위기 의심 가구 초기 상담
AI 활용해 위기가구 찾아낸다…복지부, 초기상담 활용 시범사업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전화로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는 시스템이 22일 전국 101개 시군구에서 도입된다.

보건복지부는 대화형 AI 기반 자동전화시스템으로 위기 의심 가구의 초기 상담을 진행하는 'AI 활용 복지 사각지대 발굴 초기상담 정보시스템'을 시범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복지부는 단전, 단수 등 45종의 위기정보를 입수·분석해 복지위기가구를 파악해 사각지대에 놓인 가구를 발굴하는 복지위기가구 조사를 1년에 6차례 하고 있다.

현재는 위기 의심 가구에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공무원이 일일이 전화를 걸어 초기상담을 한다.

이를 통해 위기 가구와 복지 수요를 파악한 다음 심층 상담과 가구방문 상담을 해 사회보장급여를 주거나 민간 서비스를 연계해 준다.

시범사업에서는 이 중 초기상담을 자동전화 시스템(발신전용 번호 1600-2129)이 수행한다.

AI 시스템이 위기 의심 가구에 전화를 걸어 시나리오에 기반해 상담하는 방식이다.

건강, 경제 상황, 고용위기 등과 관련한 공통 질문을 한 뒤 위기정보와 관련해 추가 질문을 던져 복지 도움이 필요한 상황인지 파악한다.

복지부는 작년 7월부터 관련 시스템을 구축해왔으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시스템 안전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점검한다.

상담 내용은 시스템을 통해 지자체 공무원에게 자동으로 전달돼 심층상담 등에 활용된다.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지방자치단체는 대상자가 전화를 받도록 미리 문자메시지(발신자명 '읍면동AI복지상담')를 발송해 안내한다.

긴급하게 복지 도움이 필요한 가구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속하게 연락하도록 담당 공무원의 연락처를 함께 전달한다.

복지부는 AI를 활용한 새 시스템을 통해 지자체 공무원이 도움이 필요한 위기가구를 집중적으로 상담하고, 현장의 새로운 복지 수요에 대응해 위기가구를 신속하게 발굴해 지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오는 9월 13일까지 실시되는 '4차 복지사각지대 발굴' 기간에 운영된다.

이후 9월부터는 전체 시군구의 60%로 대상 지자체를 넓히고, 11월 하순에는 다시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임을기 복지부 복지행정지원관은 "AI를 활용해 어려운 이웃들을 더욱 촘촘하고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게 하겠다"라고 말했다.

AI 활용해 위기가구 찾아낸다…복지부, 초기상담 활용 시범사업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