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삶 알아야 맞춤형 정책 가능…수원시, 2천명 면접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령·지역별 정책 수요 차이…"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
경기 수원시는 시민의 삶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해 꼭 필요한 맞춤형 정책을 만들기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방문 면접조사를 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23 수원서베이'라는 이름으로 지난해 12월 13일부터 올해 1월 19일까지 한 달여간 18세 이상 시민 2천41명을 대상으로 수원시정연구원이 진행했다.
시내 모든 구와 동에 거주하는 시민이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한 뒤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응답자들은 일상 생활과 경제 상황 등 시민의 삶과 실태, 소속감 및 이주계획, 수원시정 인식 및 기대사항 등 211개 문항에 응답했다.
조사 결과 수원시민은 생활환경, 보건환경, 복지환경, 주거환경, 경제환경, 교육환경, 안전환경, 사회환경 등 8대 영역 중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6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회환경 만족도는 62.1점으로 가장 낮았다.
영역별 만족도는 구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구별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장안구는 보건환경(69.1점), 권선구와 영통구는 생활환경(70.4점), 팔달구는 주거환경(64.3점)으로 조사됐다.
정책 수요 면에서는 4개 구 모두 일자리 정책을 최우선 순위로 꼽았지만, 뒷순위는 모두 달랐다.
일자리 정책에 이어 장안구는 산업 및 경제 활성화 정책과 일상생활 지원, 권선구는 복지 정책과 보육 및 교육지원 정책, 팔달구는 주거 및 생활환경 개선 정책과 신체건강 및 보건의료 지원, 영통구는 주거 및 생활환경 개선 정책과 일상생활 지원을 필요 정책으로 꼽았다.
연령별로는 청년은 주거 및 생활 안정 정책을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 선택했고, 일자리 정책은 그다음이었다.
중년기와 장년기는 일자리 정책을 1순위, 주거 및 생활 정책을 2순위로 꼽았고, 노년기는 1순위로 복지 정책을, 2순위로 주거 및 생활 정책을 요구했다.
5년 후에도 수원시에 거주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93.8%가 "그렇다"고 답했고, 그 이유로는 학교·직장·사업장 위치가 28.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지인 거주(20.8%), 쾌적한 자연환경(14.3%), 편리한 생활·문화·교육 인프라(14.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김성진 수원시정연구원장은 "수원서베이는 시민 삶의 영역을 심층적으로 살피기 위해 기초지자체 중에는 처음으로 진행한 사회조사"라며 "조사 결과는 시정을 운영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합리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경기 수원시는 시민의 삶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해 꼭 필요한 맞춤형 정책을 만들기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방문 면접조사를 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23 수원서베이'라는 이름으로 지난해 12월 13일부터 올해 1월 19일까지 한 달여간 18세 이상 시민 2천41명을 대상으로 수원시정연구원이 진행했다.
시내 모든 구와 동에 거주하는 시민이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한 뒤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응답자들은 일상 생활과 경제 상황 등 시민의 삶과 실태, 소속감 및 이주계획, 수원시정 인식 및 기대사항 등 211개 문항에 응답했다.
조사 결과 수원시민은 생활환경, 보건환경, 복지환경, 주거환경, 경제환경, 교육환경, 안전환경, 사회환경 등 8대 영역 중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6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회환경 만족도는 62.1점으로 가장 낮았다.
영역별 만족도는 구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구별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장안구는 보건환경(69.1점), 권선구와 영통구는 생활환경(70.4점), 팔달구는 주거환경(64.3점)으로 조사됐다.
정책 수요 면에서는 4개 구 모두 일자리 정책을 최우선 순위로 꼽았지만, 뒷순위는 모두 달랐다.
일자리 정책에 이어 장안구는 산업 및 경제 활성화 정책과 일상생활 지원, 권선구는 복지 정책과 보육 및 교육지원 정책, 팔달구는 주거 및 생활환경 개선 정책과 신체건강 및 보건의료 지원, 영통구는 주거 및 생활환경 개선 정책과 일상생활 지원을 필요 정책으로 꼽았다.
연령별로는 청년은 주거 및 생활 안정 정책을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 선택했고, 일자리 정책은 그다음이었다.
중년기와 장년기는 일자리 정책을 1순위, 주거 및 생활 정책을 2순위로 꼽았고, 노년기는 1순위로 복지 정책을, 2순위로 주거 및 생활 정책을 요구했다.
5년 후에도 수원시에 거주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93.8%가 "그렇다"고 답했고, 그 이유로는 학교·직장·사업장 위치가 28.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지인 거주(20.8%), 쾌적한 자연환경(14.3%), 편리한 생활·문화·교육 인프라(14.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김성진 수원시정연구원장은 "수원서베이는 시민 삶의 영역을 심층적으로 살피기 위해 기초지자체 중에는 처음으로 진행한 사회조사"라며 "조사 결과는 시정을 운영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합리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