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스 무인기에 뒤늦게 수직이착륙 기능 추가키로…전력화 지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군에서 드론작전사로 운용부대 바뀌면서 변경
군이 유사시 북한 지역에 침투해 정찰 임무를 수행할 소형 스텔스 무인기에 수직이착륙 기능이 필요하다고 뒤늦게 판단해 전력화 시기가 늦어지게 됐다.
2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동부전선 한 일선 부대에 시범 배치된 가오리 모양의 소형 스텔스 무인기는 활주로 이착륙 방식으로 수직이착륙은 불가능하다.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연구 개발한 이 무인기는 당초 활주로를 확보한 공군 부대 등에서 쓰이도록 고안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작년 9월 국방부 직할로 창설된 드론작전사령부 예하부대에서 이 무인기를 운용하기로 하면서 수직이착륙 기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드론작전사 예하부대 중에서 활주로를 갖춘 곳은 현재 이 무인기가 시범배치된 부대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인근 공군부대 활주로를 이용하는 방식은 적시 작전 수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군은 무인기 운용부대마다 활주로를 확보하는 것보다는 어디서든 띄울 수 있는 무인기를 운용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 추가 연구개발을 거쳐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소형 스텔스 무인기를 일선 부대에 배치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 여파로 소형 스텔스 무인기 전력화 일정도 그만큼 지연될 것으로 우려된다.
합참은 "스텔스 무인기는 장기적 운용 효율성을 고려해 연구기관과 협업해 전력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오리 모양의 소형 스텔스 무인기는 북한군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으며, 사전에 경로를 입력하면 시간당 수백㎞를 자동으로 비행할 수 있다.
공중정찰 등 임무 완료 시 자동으로 복귀하는 기능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2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동부전선 한 일선 부대에 시범 배치된 가오리 모양의 소형 스텔스 무인기는 활주로 이착륙 방식으로 수직이착륙은 불가능하다.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연구 개발한 이 무인기는 당초 활주로를 확보한 공군 부대 등에서 쓰이도록 고안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작년 9월 국방부 직할로 창설된 드론작전사령부 예하부대에서 이 무인기를 운용하기로 하면서 수직이착륙 기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드론작전사 예하부대 중에서 활주로를 갖춘 곳은 현재 이 무인기가 시범배치된 부대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인근 공군부대 활주로를 이용하는 방식은 적시 작전 수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군은 무인기 운용부대마다 활주로를 확보하는 것보다는 어디서든 띄울 수 있는 무인기를 운용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 추가 연구개발을 거쳐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소형 스텔스 무인기를 일선 부대에 배치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 여파로 소형 스텔스 무인기 전력화 일정도 그만큼 지연될 것으로 우려된다.
합참은 "스텔스 무인기는 장기적 운용 효율성을 고려해 연구기관과 협업해 전력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오리 모양의 소형 스텔스 무인기는 북한군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으며, 사전에 경로를 입력하면 시간당 수백㎞를 자동으로 비행할 수 있다.
공중정찰 등 임무 완료 시 자동으로 복귀하는 기능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