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기후동행카드 손실보전액 1100억원…1차 추경 1.5조원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 손실 보전액으로 690억원을 추가 편성해 올해 1100억원을 쓰기로 했다. 시립병원 두 곳에는 인건비 명목으로 456억원을 투입하고 지하철 전동차 증차, 노후시설 개선 등 안전 확보 관련 예산을 1137억원을 증액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27일 이런 내용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총 규모는 1조5110억원으로 기정 예산 45조 7881억원 대비 3.3% 늘어났다. 건전 재정 기조에 따라 지난해 최종 예산 50조3760억원보다는 3조769억원(6.1%) 줄어든 규모다.

이번 1차 추경안에서 비중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분야는 민생경제 분야다. 서울시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이른바 3고(高) 현상으로 시름하는 시민들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돕기 위해 민생경제·동행 분야에 3682억원을 편성했다. 기후동행카드를 비롯해 평소 '약자동행'을 강조해온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기후동행카드 예산은 기정 예산 약 400억원에 697억 원 증액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당초 오는 5월말까지 추진하는 사업비만 편성했는데, 연말까지 단기권, 10월 운항예정인 리버버스와의 연계할인, 문화시설 이용 할인 등 추가 혜택을 보전하겠다는 취지다. 신체 활동을 독려하는 미션을 수행하면 포인트를 지급하는 손목닥터 9988에 113억 원을 추가로 편성했다.
서울시, 올해 기후동행카드 손실보전액 1100억원…1차 추경 1.5조원

의료 분야 예산도 적지 않다. 의료파업 장기화에 따라 적자를 감당하고 있는 시립병원 두 곳(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에 456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80억 원), 정·난관 복원 시술비(1억 원)등도 이번 예산안에 포함했다.

도시 인프라와 문화시설 확충 등에는 773억원을 편성했다. 국회대로 지하차도 및 상부공원화에 137억원, 시청역 지하공간 기반시설 조성에 38억원, 노들섬 글로벌 예술섬 조성에 9억원 등을 투입한다. 시내버스와 지하철, 경전철 재정지원에도 897억원을 반영했다.

추경 예산 1조5110억원 중 시가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원은 약 8000억원이다. 나머지는 교육청, 자치구에 전출하고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간 전출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