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 장기화에 근로소득 감소까지 맞물리면서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아진 것이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1%포인트 증가한 수준이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해 18.2%에 달했다. 전 분기와 비교해서는 3.4%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를 기록했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 증가한 9.4%였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전년 동기 대비 0.9%포인트 증가한 28.9%였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포인트 감소해 60.3%로 집계됐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가운데, 가계지출은 2.5%, 이자 비용은 11.2% 늘어나 지출 부담이 크게 늘었다. 이런 와중에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1.1% 줄며 '역성장'했다. 특히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게 통계청의 진단이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