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일부 회사 유동성 지속 모니터링 중"
중소 캐피탈사 유동성 우려 '비상'…일부 등급 전망도 하향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 확산으로 조달환경이 악화하면서 중소형 캐피탈사의 단기 유동성 대응 능력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건전성 저하 위험이 부각된 일부 캐피탈사는 신용등급 전망이 줄하향됐다.

26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신용등급 A0 이하 캐피탈사 11곳(M·농심·DB·무림·애큐온·오릭스·오케이·키움·한국·한국투자·롯데오토리스) 채권 중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는 3조7천억원으로 집계된다.

최근 PF 우려로 저등급 캐피탈채에 대한 수요가 축소되면서 차환 과정에서 금리 상승 부담이 커지고, 이에 따라 수익성 및 유동성 악화가 우려된다.

특히 A급 이하 캐피탈사는 시장 조달이 어려워 자산 매각 등으로 외형을 축소하거나 담보 제공 차입으로 자금을 조달 중이다.

올해 들어 A+ 등급 이상 캐피탈사 채권은 2천800억원 순발행된 반면, A0 이하 캐피탈사는 발행량이 6천900억원 순감했다.

일부 캐피탈사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10위권 캐피탈사인 M캐피탈은 이달부터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이 8천425억원으로, 당장 이달 말에도 1천500억원의 채권을 차환해야 한다.

M캐피탈은 이달 메리츠증권으로부터 투자자산을 담보로 3천억원을 대출받기로 해 당장은 유동성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매각 이슈가 있는 데다 최근 신용평가사들이 등급전망을 하향하고 나서면서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23일 M캐피탈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로 유지하고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했다.

이어 나이스신용평가도 "유동성 대응능력이 하락했고, 자산건전성 저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24일 신용등급을 'A-'로 유지하고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했다.

앞서 작년 말 한신평은 오케이캐피탈의 신용등급은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로, DB캐피탈의 신용등급은 'BBB0(긍정적)'에서 'BBB0(안정적)'로 하향한 바 있다.

한국기업평가도 A캐피탈의 기업어음 및 전자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낮췄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이들 캐피탈사는 차환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최근 부동산 PF 비중이 높은 캐피탈사를 중심으로 재무 안정성 우려가 커지면서 A급 이하 캐피탈사의 단기 유동성 문제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A급 이하 캐피탈사는 PF 대출 자산 익스포저가 변제순위, 입지 등 측면에서 열위에 있어 앞으로 손실 가능성이 크다.

대손충당금 추가 부담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M캐피탈의 요주의이하자산비율은 2022년말 기준 2.8%에서 올해 3월말 기준 17.6%로 상승했다.

자산건전성이 저하되는 다른 캐피탈사도 추가로 등급 전망이 하향할 가능성도 있다.

유안타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올해 금리 관련 변동성 확대 구간이 지속되면서 신용도 열위에 있는 캐피탈사의 발행 만기 단기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단기 차입 의존도가 높은 캐피탈사의 실질 유동성 대응 능력에 대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2022년 레고랜드 사태 이후로 A급 이하 캐피탈사 중 유동성 우려가 있는 곳에 대해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캐피탈 연체율도 오르는 추세이지만 연체채권의 60%가 상위 캐피탈사 물량이어서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