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한 처리·정보보호 때문에 현지 인프라 구축 필요성
올해 AI 인프라 137조원 투자 전망…알리바바도 '따라잡기'
미 빅테크들, AI 투자 늘리며 눈길은 점점 해외로
미국의 거대 기술기업(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투자를 늘리면서 점점 더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아마존은 올해 지금까지 전 세계 AI 관련 및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들에 합쳐서 400억 달러(55조 원) 이상을 배정하며 해외 투자를 이끌고 있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MS는 향후 수년간 프랑스와 독일, 일본, 말레이시아, 스페인, 인도네시아에 160억 달러(22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마존은 일본에 150억 달러(20조5천억 원), 싱가포르에 90억 달러(12조3천억 원), 멕시코에 50억 달러(6조8천억 원), 프랑스에 13억 달러(1조8천억 원)의 인프라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생성형 AI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이 기능을 비즈니스에 접목하려는 새로운 벤처 및 스타트업들로 인해 이들 빅테크는 설비를 신속하게 확장하고 있다.

반면,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은 현재로는 AI 및 데이터센터 관련 투자의 대부분을 미국에 하고 있다.

미국 증권사 웨드부시의 애널리스트 대니얼 아이브스는 빅테크들이 전반적으로 국제 시장에서 "날개를 펼치는 것"(spread their wings)을 모색하고 있다며 'AI 무기 경쟁'(AI arms race)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또 알파벳과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도 해외에 공격적으로 진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DA데이비슨의 애널리스트 길 루리아는 이들 기업이 올해 AI 인프라에 1천억 달러(137조 원) 이상을 쓸 것으로 예상한다.

루리아 애널리스트는 이들의 데이터 센터 확장이 "사업의 자연스러운 진전의 일부"라며 "세계가 클라우드로 더 옮겨가면서, 이런 변화가 이는 곳에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이들 기업으로서는 더 빠른 처리 시간과 함께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때문에 데이터 센터를 현지에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메타의 경우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곳에 데이터 센터를 두는 경향이 있어 MS와 아마존처럼 해외에 인프라를 구축할지는 불분명하다는 게 루리아의 생각이다.

그런데도 메타는 AI 역량 지원을 위해 올해 350억~400억 달러(48조~55조 원)를 투자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도 클라우드 부문 투자를 늘리며 미국 빅테크들 따라잡기에 나섰다.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국제사업 책임자인 셀리나 위안은 22일 미국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는 국제 데이터 센터들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이고 투자하고 싶다"고 밝혔다.

위안은 인터뷰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제품의 가용성 영역을 처음으로 멕시코로 확장했다며 향후 3년에 걸쳐 말레이시아, 태국, 한국을 포함한 주요 시장에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너지 리서치 그룹에 따르면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과 MS, 구글의 점유율은 약 67%다.

반면 알리바바는 5% 미만이다.

위안 책임자는 "AI가 미래이고 확실히 트렌드라고 생각한다"며 AI와 거대언어모델(LLM)을 지원하는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