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주 교수가 쓴 '서울의 자서전'
조선왕실의 '파묘'·궁녀에게 하사한 밭…서울에 남은 조선 역사
"하늘에 계신 혼령이 오르내리며 편안히 계시는데 하루아침에 새 능으로 다시 선정하면 옮겨 모시는 즈음에 도리어 미안한 뜻이 있을까 염려됩니다.

"
1559년 4월 24일 간원(諫院)이 명종(재위 1545∼1567)에게 아뢰었다.

선왕인 중종(재위 1506∼1544)의 무덤을 옮기는 일을 멈춰달라는 뜻에서다.

그러나 왕은 뜻을 꺾지 않았고, 중종의 무덤인 정릉은 경기 고양에서 서울 강남으로 옮겨진다.

왕릉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무덤을 파내는 파묘(破墓) 또한 행해졌다.

훗날 사관은 중종의 세 번째 왕비인 문정왕후를 언급하며 "중종이 장경왕후와 같은 원침(園寢·무덤)에 있는 것을 꺼리어 급히 옮기도록 하고, 죽은 후에 같은 무덤에 묻힐 계획을 한 것"이라고 기록했다.

조선왕실의 '파묘'·궁녀에게 하사한 밭…서울에 남은 조선 역사
신병주 건국대 교수가 소개하는 조선 왕실의 파묘 사례다.

신 교수가 최근 펴낸 '서울의 자서전'(글항아리)은 이처럼 서울에 남아있는 조선의 역사와 문화 공간을 소개하고 그곳에 얽힌 사연을 정리한 책이다.

책은 51가지 주제로 서울 곳곳에 숨어있는 조선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홍보지 '내 손안에 서울'에 연재한 내용을 토대로 경복궁·창덕궁·창경궁 등의 궁궐과 왕릉, 조선이 수도가 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한강 등을 설명했다.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연려실기술' 등 역사적 자료를 토대로 각 장소에 얽힌 이야기를 전하면서 신 교수가 직접 탐방하면서 느낀 생각과 감정도 함께 실었다.

1392년 조선을 건국한 뒤 새로운 궁궐을 짓게 된 배경부터 '7일의 왕비'라는 드라마로 잘 알려진 단경왕후와 인왕산 치마바위에 얽힌 사연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왕실의 '파묘'·궁녀에게 하사한 밭…서울에 남은 조선 역사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장소도 흥미를 끈다.

대학로 인근 낙산 자락에는 효종(재위 1649∼1659)이 '홍덕'이라는 궁녀에게 하사한 밭이 남아있다.

효종이 청나라에 인질로 갔을 때 홍덕이 담은 김치를 먹었는데, 그 맛을 잊지 못한 효종은 왕이 된 뒤에도 홍덕이를 찾아 김치를 먹었다는 이야기가 내려오는 곳이다.

제목을 왜 '서울의 자서전'이라고 했을까.

신 교수는 "서울이 조선의 수도가 된 이후 지금까지 역사의 현장을 중심으로 자신의 이력을 계속 써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그는 기회가 되면 속편에 해당하는 '서울의 자서전: 근현대의 눈으로 걷다'도 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360쪽.
조선왕실의 '파묘'·궁녀에게 하사한 밭…서울에 남은 조선 역사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