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가 오는 26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개최된다. 여기서 세 나라 정상은 경제통상 협력 확대와 우호적 투자 환경 조성, 인적 문화 교류 촉진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눌 전망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2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는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열린 제8차 회의 이후 4년5개월 만이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 첫날인 26일 대통령실에서 리창 중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차례로 양자회담을 할 예정이다. 같은 날 저녁에는 3국 대표단과 경제계 인사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 환영 만찬을 한다. 27일에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린다. 이어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리 총리는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해 각각 연설하고 3국 경제인들을 격려하기로 했다.

세 나라 정상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인적 교류 △기후 변화 대응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경제통상 협력 △보건 및 고령화 대응 협력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협력 △재난 및 안전 협력 등 6대 중점 협력 분야를 논의할 계획이다. 협력의 구체적인 방안은 정상회의 후 3국 공동선언에 담긴다. 3국 정상은 또 협력의 지역적 범위를 양자 관계와 지역 협력 차원을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 글로벌 차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김 차장은 “이번 정상회의는 한·일·중 세 나라가 3국 협력 체계를 완전히 복원하고 정상화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3국 국민이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협력의 모멘텀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생각하는 궁극적 목표는 서로 신뢰하면서 활발히 교류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3국 모두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