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응섭 한국지사장 기자간담회…"올해부터 한국에 많은 지원 할당"
"워크데이, AI 통해 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날 것"
기업용 인사·재무관리 클라우드 기업 '워크데이'는 23일 고객사들을 위한 서비스에 인공지능(AI)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워크데이의 정응섭 한국지사장은 이날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워크데이라는 테크 회사는 플랫폼 회사로 거듭나고자 한다"며 "AI가 그것을 가능하게 해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들이 얼마나 빠르고 유연하게 효율성을 높이냐에 따라 경쟁력이 바뀔 것인데 워크데이는 AI 역량을 추가해 문제를 풀어갈 것"이라며 "AI 기술들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고 그 기술들을 소프트웨어에 담아 일반 고객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정 지사장은 "한국은 2023년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에서 6위를 차지할 정도로 강력한 디지털 인프라와 준비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관리 방식과 문화적인 장벽으로 생산성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며 "기존 HR(인사 관리) 방식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쉐인 루크 워크데이 AI 및 머신러닝(기계학습) 기술총괄 부사장도 간담회에서 기업들의 업무 환경 지원을 위해 AI에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워크데이의 AI 차별화 전략으로 ▲ 플랫폼 접근 방식 ▲ 우수한 품질의 데이터 ▲ 유연성 및 확장성 ▲ 신뢰성 등 4가지를 꼽았다.

특히 루크 부사장은 AI의 신뢰 확보를 위한 원칙으로 인간의 잠재력 강화, 사회 기여, 투명성과 공정성 지향, 개인정보 및 데이터 보호 등을 제시했다.

워크데이 플랫폼은 전 세계에서 6천500만여명의 사용자를 두고 있으며 연간 8천억건이 넘는 트랜잭션(작업 수행 단위)을 처리하고 있다.

워크데이는 현재 매출이 대부분 미국 시장에서 나오지만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도 성장 기회를 노리고 있다.

정 지사장은 "워크데이가 그동안 미국과 유럽 시장에 집중했는데 올해부터 한국에 더 많은 지원과 자원이 할당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는 워크데이의 연례 고객 행사인 '엘리베이트 서울 2024' 홍보차 마련됐다.

"워크데이, AI 통해 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날 것"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