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간 육해공군과 로켓군 합동군사훈련…지난해 8월 이후 9개월만
"함정·군용기, 대만 섬 인근 도착"…中군사압박에 대만도 맞불 양안 긴장고조
中, 대만총통 취임 사흘만에 '대만 포위 훈련'…대만, 긴급대응(종합2보)
중국군이 라이칭더 대만 총통 취임식이 진행된 지 사흘 만에 대만을 사실상 포위하는 대규모 군사훈련에 돌입했다.

대만 역시 곧바로 군 병력을 투입해 대응에 나서 대만해협을 둘러싼 양안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는 23일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을 통해 현지시간 이날 오전 7시45분부터 이틀간 대만해협과 대만 북부, 남부, 동부 및 진먼다오, 마쭈섬, 우추다오, 둥인다오 등에서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병력을 동원해 합동 군사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관영 신화통신과 중국중앙(CC)TV 등 관영 매체들도 중국군의 발표를 주요 뉴스로 전했다.

'연합리젠(利劍)- 2024A 연습'이라는 명칭이 붙은 이 훈련은 대만을 한 가운데에 두고 주변 해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져 사실상 대만을 포위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동부전구 대변인은 이 훈련이 대만 섬 주변에서 합동 해상 및 공중전투 준비 태세 점검, 표적에 대한 합동정밀 공격 등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며 함정과 군용기가 이미 대만 섬 인근 전투 순찰대에 도착했다고 설명했다.

대변인은 "이 훈련은 '독립'을 추구하는 '대만독립' 분리 세력에 대한 강력한 징계(응징)이자 외부 세력의 간섭과 도발에 대한 엄중한 경고"라고 밝혔다.

동부전구는 훈련 지역을 표시한 지도를 별도로 공개하기도 했다.

中, 대만총통 취임 사흘만에 '대만 포위 훈련'…대만, 긴급대응(종합2보)
중국 해경국도 푸젠해경이 우추다오와 둥인다오 인근 해역에서 함정 편대를 조직, 종합 법 집행훈련을 전개해 합동순항과 신속 대응, 비상 대응 능력을 점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훈련은 라이칭더 대만 신임 총통 취임 사흘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진 것이어서 대만을 겨냥해 군사적 압박 강도를 높이는 무력시위 성격이 짙은 것으로 분석된다.

라이칭더 총통은 지난 20일 취임 연설에서 '독립'에 대한 직접 언급 없이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에 대해 주권 등을 포함한 '현상유지' 입장을 밝혔으나, 중국은 대만의 주권 주장이 곧 '독립' 주장이라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대만 군 당국은 중국의 대규모 군사훈련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병력을 투입해 대응에 나섰다.

대만 국방부는 중국군의 군사훈련에 대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훼손하는 비이성적인 도발 행위"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하면서 "규정에 따라 육해공군을 투입해 대응함으로써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대만의 주권을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군 장병들에게 "전쟁을 회피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며 비상 대비 태세를 철저히 갖출 것을 주문했다.

중국군의 무력시위에 대만군도 즉각적으로 대응에 나섬에 따라 양안간 긴장의 파고는 당분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대만 주변을 포위하는 대규모 군사훈련에 나선 것은 라이칭더 당시 대만 부총통이 미국을 방문했던 지난해 8월 이후 약 9개월 만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는 지난해 8월 19일 라이 당시 부총통의 미국 방문 후 귀국에 맞춰 육·해·공군을 총동원한 실전에 가까운 훈련을 통해 군사적 압박 수위를 높인 바 있다.

이에 앞서서 중국은 재작년 8월 낸시 펠로시 당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반발해 대만을 포위하는 대규모 군사훈련을 진행했으며 지난해 4월에도 당시 차이잉원 총통·케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 회동을 이유로 '대만 포위' 훈련을 펼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