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3천200억 들여 6G 통신위성 2기 발사·시범망 구축
'한국판 스타링크' 첫발…저궤도 위성사업 삼수 끝 예타 통과
우크라이나 전장에서도 위력을 발휘한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와 같은 형태의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이 세 번째 도전에서 정부 예산 관문을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열린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2021년부터 거듭 탈락한 후 세 번째 도전이었다.

이 사업은 저궤도 위성통신의 핵심 기술을 자립화하고 국내 기업들의 세계시장 진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2030년 초까지 6G 표준 기반의 저궤도 통신위성 2기를 발사하고, 지상·단말국까지 포함된 시스템 시범망을 구축하는 게 골자다.

사업에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6년 간 3천199억9천만원이 투입되는데, 이달 예타를 통과하면서 내년 정부 예산에 반영돼 국회에 예산을 신청할 수 있게 됐다.

내년부터 기술 개발을 시작할 수 있는 셈이다.

고도 300~1천500km의 저궤도 위성은 고도 3만6천000km의 정지궤도 위성에 비해 지구에 가까워 짧은 지연 시간으로 고속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미 스페이스X, 원웹, 아마존, 텔레샛 등 막대한 자본과 기술력을 가진 글로벌 기업들이 비표준 독자 규격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을 선점해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는 5천500여 개의 저궤도 군집위성으로 촘촘한 인터넷망을 구축해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마인드 커머스에 따르면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은 2021년 41조원에서 2025년 107조원을 넘어 2030년에는 28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저궤도 위성통신이 해상·공중까지 지리적 제약 없이 통신 서비스 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비지상통신망으로 주목받으면서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6G 표준이 완성되면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도 현재의 비표준 방식에서 벗어나 2030년대에 이르러 표준 기반으로 본격 개화될 전망이다.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의 개발과 위성의 발사까지 통상 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이 바로 국내 기업들이 6G 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진입을 준비할 수 있는 적기라고 과기정통부는 강조했다.

'한국판 스타링크' 첫발…저궤도 위성사업 삼수 끝 예타 통과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통신탑재체, 지상국, 단말국 분야에서 11개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저궤도 통신위성이 지구 주위를 빠르게 이동하며 통신을 제공하는 특성을 고려해 ▲ 위성 추적 및 통신 링크 형성 ▲ 위성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 오류 보상 ▲ 위성 간 핸드오버 ▲ 위성 간 중계와 트래픽 분산 등을 위한 위성 간 링크 등의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9월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에 대비한 위성통신 정책의 청사진으로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을 발표하면서, 국내 위성통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사업은 이를 이행하기 위한 핵심 과제이다.

과기정통부 류제명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선도국가로서 입지가 확고한 이동통신 분야의 기술력과 개발 경험을 위성통신까지 확장한다면 우리나라도 충분히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며 "이번 사업을 단초로 해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에 적기에 대응함으로써, 국내 위성통신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우리나라의 디지털·우주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