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김진표 "당원의 당선 기여 5% 불과"
김진표 국회의장(사진)이 “극단적 팬덤정치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상대를 배제하며 공격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팬덤정치의 폐해가 너무 크다”고 말했다. 팬덤정치가 횡행하는 배경으로는 ‘승자 독식의 소선거구제와 대통령 5년 단임제의 결합’을 지목했다.

김 의장은 22일 국회 사랑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오는 29일 21대 국회 임기 종료와 함께 퇴임하는 소회를 밝혔다. 김 의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강성 지지자인 ‘개딸’로 대표되는 팬덤정치에 큰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당원이 국회의원 당선에 기여하는 득표율은 5%밖에 안 될 것”이라며 “나머지 90~95%는 당원도, 팬덤도 아니라 일반 국민”이라고 했다. 이어 “국회의원은 당원이나 자기를 공천해 준 정당에 충성하기 이전에 국민과 유권자 눈높이에서 정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의장은 민주당 추진 법안의 여야 합의 처리를 강조하며 직권상정을 거부해 ‘친정’으로부터 비판받은 데 대해 “의장의 가장 중요한 일은 대화와 타협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며 “의장이 욕먹는 걸 두려워하면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했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저출생 문제와 관련해 “교육·보육·주택 등 세 가지 대책을 20~30년간 흔들림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헌법에 규범화하는 게 필요하다”며 “국민 공감대를 만들어 다음 대통령선거에 맞춰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