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영 "데이터혁명, 현대카드가 넘는다…AI에 1조원 투자"
"산업혁명보다 더욱 거센 데이터혁명의 시기다. 현대카드는 그 강을 거의 넘어왔고, 이를 위해 지금까지 인공지능(AI)에만 1조원을 투자해왔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은 21일 서울 강남구 소재 쿠킹라이브러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밝히며 미래 주요 전략으로 데이터와 AI를 꼽았다.

정 부회장은 "나는 60세 넘어서 AI학회에 가는 사람으로, 이제는 강의할 수 있는 수준이 됐다"며 "현대카드는 과거부터 AI에 투자하며 관련 엔지니어들을 채용했다. 예전에는 어떻게 인재를 데려올까 고민했지만 이제는 우리 직원을 빼앗기면 어떻게 하지 할 정도로 수준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정 부회장은 어떤 알고리즘을 반영해도 원하는 데이터를 산출해낼 수 있도록 현대카드의 데이터 플랫폼을 궤도에 올려놓았다고 자평했다. 실제 현대카드는 이 같은 노력의 결과로 데이터 플랫폼을 판매하는, 데이터 설계에 강한 '테크기업'으로 거듭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현대카드가 최초로 성공시킨 상업자 전용 신용카드, PLCC다. 단순히 카드사와 기업간 제휴에서 벗어나 데이터 협업부터 모든 과정을 양사가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 부회장은 현대카드를 PLCC와 GPCC(범용 신용카드)를 모두 성공시킨 유일한 회사라고 설명했다.

그는 "과거 PLCC를 전문으로 하는 싱크로니파이낸셜의 주가가 왜 이렇게 가파르게 오를까에 대해 꽂힌 적이 있어 본격적인 인터뷰를 하기 시작했다"며 "일각에서는 '현대카드가 멋 부리려고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지만, 나에게 PLCC는 사활을 건 도전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것은 데이터 스트럭처(구조)를 만들어 데이터 플랫폼을 판매하고, 데이터로 승부를 건다는 의미"라며 "현대카드는 데이터 강을 거의 넘어온 것 같고, 이제는 중장기적으로 가려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카드업계의 가장 큰 이슈였던 애플페이 도입과 관련해선 "책임감 때문에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일각에서 애플페이를 도입하면서 5천 억원의 비용이 들었다고 지적하는데 그것은 억측"이라며 "만약 이게 국부유출이라면, 외산차나 외산폰은 왜 쓰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반문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EMV(비접촉 결제 기술)가 없기 때문에 페이먼트 스타트업이 없다"며 "EMV 파생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한 번 세게 (애플페이에) 들어가자고 했다"고 당시 심경을 전했다.

최근 고물가 여파로 카드산업의 건전성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지난 2022년부터 무려 100개의 경제 지표를 살펴보고,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카드는 일찌감치 셧다운을 했다"며 "현재 상황은 충격이 예상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특히 한국은 금융당국부터 금융사들까지 관리 능력이 높아진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태영 "데이터혁명, 현대카드가 넘는다…AI에 1조원 투자"
장슬기기자 jsk9831@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