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초 4개 기관장 회동 추진…TF로 조직 확대, 통합 방안 구체화
대구·경북 통합 논의 급물살…오늘 국장급 실무회의
대구시와 경북도의 행정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홍준표 시장과 이철우 도지사가 지난 17일 통합에 공감한 이후 22일 처음 실무 간 만남을 가진다.

이날 오후 양쪽 정책기획관이 만나 오는 23이나 24일 실무 협의 일정과 참여 부서 등을 조율한다.

도는 기획조정실과 지방시대정책국, 자치행정과, 대변인실, 경북연구원 정도가 실무 협의에 참석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도 관계자는 "오늘 시도 대표 부서 차원에서 기획조정실 국장급이 만나 이번 주 실무 협의와 앞으로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며 "통합이 대구·경북만의 개별 사안이 아니라 국가 차원 지방 행정체계 개편과 연계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도에서는 지방시대정책국을 실무 협의에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시와 도는 실무 협의에서 통합 내용과 일정, 방법 등을 논의해나갈 예정이다.

도는 앞서 전날 행정안전부를 방문해 시도 실무협의와 별도로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중앙 차원의 지원책과 계획, 로드맵 등 통합 관련 방향성을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도 실무 협의에 이어 조만간 태스크포스(TF)도 꾸려질 전망이다.

도는 대구시와 경북도, 행정안전부, 지방시대위원회 4개 기관장 회동 이후에는 기관별 TF가 정식으로 출범할 것으로 본다.

4개 기관은 다음 달 초에 기관장들이 회동하는 방안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기관장 회동 후에는 통합 추진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4자 회동 이후에는 통합 관련 4개 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사무국 등의 운영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도는 양 단체장이 통합에 공감한 지 일주일도 되지 않은 만큼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나 로드맵을 마련하지 못했지만, 이철우 도지사는 올해 내 시도의회 의결과 내년 상반기 중 통합 관련 특별법 국회 통과, 2026년 지방선거 때 통합 단체장 선출을 제시했다.

도는 2019년 대구·경북 통합을 추진하면서 축적해놓은 연구 결과 등을 분석해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통합 관련 내용과 방법, 일정 등을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홍 시장과 이 지사가 특별법을 만들어 통합을 추진하는 데 의견을 같이함에 따라 특별법에 완전한 지방자치를 위한 권한과 인센티브, 절차 등을 담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이 지사는 경찰, 소방, 교육, 이민, 환경, 산림 등 국방과 외교를 제외한 모든 권한과 재정을 지방에 이양하는 완전한 지방자치, 완전한 자치정부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홍 시장은 직할시 개념을 부각해 행안부 지휘를 받지 않고 서울특별시와 같이 총리실로 지휘체계를 바꾸고, 인구 500만의 대구직할시로 만들면 한반도 제2의 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