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대·강원대·네오이뮨텍, 유전자재조합 단백질 연구
국내 연구진, 암 치료제 효능 높일 후보 물질 발굴
국내 연구진이 폐암 등 고형암에 이중항체 치료제의 효능을 높일 방법을 찾았다.

포항공대(포스텍)는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통합 과정 이건주씨가 최동훈 네오이뮨텍 연구소장, 강원대 김대희·최선심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고형암에서 이중항체 치료제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증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이중항체는 두 종류의 항원과 결합할 수 있어 항암 치료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된다.

항원은 병원균이나 암세포처럼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을 가리킨다.

이 중 T세포 결합 이중항체는 T세포와 종양세포를 동시에 잡아 T세포가 효과적으로 종양을 공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T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림프구(면역계를 구성하는 중심세포)의 일종이다.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질병에 취약해진다.

T세포 이중항체를 이용한 방법은 혈액암 치료에서 뛰어난 효능을 보이지만 폐암이나 대장암 등 고형암 치료에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많은 고형암은 종양을 없애는 데 필요한 T세포 수가 부족하고 T세포 기능이 약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네오이뮨텍이 임상 개발 시험 중인 유전자재조합 단백질(rhIL-7-hyFc)을 사용했다.

이 단백질은 T세포 수를 늘릴 수 있다고 알려졌다.

연구팀이 이 물질을 사용해 동물 실험을 한 결과 대장암과 피부암 동물 모델에서 '방관자 T세포' 수가 증폭됐다.

방관자 T세포는 원래 종양에 특이하게 반응하지 않지만 활성화하면 종양 세포에 반응할 수 있다.

유전자재조합 단백질로 인해 증가한 고형암 내 방관자 T세포가 이중항체에 의해 활성화돼 종양을 없앨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T세포 수와 기능이 부족해 고형암 치료에 적용하기 어려웠던 이중항체의 문제를 유전자재조합 단백질로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최근 보건의료분야 국제 학술지인 '셀 리포트 메디슨'에 실렸다.

이승우 교수는 "이번 연구가 임상 시험을 통해 고형암 항암면역 치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국내 연구진, 암 치료제 효능 높일 후보 물질 발굴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