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시장 첫 진입부터 양적·질적 성장, 해외 도약까지 지원 강화
주요조달제도 개선, 해외실증 확대 등 지난해 역대 최대 16억달러 수출
'중소·벤처·혁신기업의 벗' 조달청,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조달청이 조달기업 지원 강화를 통해 지난해 역대 최고인 16억3천만달러 수출 실적 달성 등의 성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21일 오전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을 맞아 그동안 중점적으로 추진해 온 핵심 과제인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성과를 발표했다.

임 청장은 "지난 2년간 중소·벤처·혁신기업의 벗으로,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높이기 위해 조달기업의 진입부터 성장, 도약까지 전방위적인 지원정책을 펼쳐왔다"고 설명했다.

조달청에 따르면 초보 기업들에 시장 진입과 제도 활용에 필요한 정보를 원스톱으로 제공·컨설팅하는 '공공조달 길잡이' 제도를 지난 3월 도입하고, 전담관 34명을 지정했다.

전담관을 기업들이 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전국 11개 지방청 등에 고루 배치해 도입 두 달 만에 425건의 컨설팅을 제공했다.

기술력은 있지만 실적이 부족해 조달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창업·벤처기업을 위한 전용몰(벤처나라)을 운영해 초기 판로 개척에도 나서고 있다.

벤처나라를 통해 우대받은 기업은 지난달 기준(누적) 총 3천282개사로, 2021년 2천227개사 대비 47% 증가했다.

규제혁신 체계를 구축해 현장 규제 개선에도 집중했다.

2022년 6월부터 공공·민간 역량을 결집한 민·관 합동 조달 현장 규제혁신 위원회를 운영하면서 206개의 규제를 발굴, 그 가운데 179개(개선율 87%) 규제를 개선했다.

지난 1월부터는 장기간 방치됐던 불합리한 공공선박 입찰제도를 전면 개편 시행 중이고, 연 209조원 공공구매력을 통한 첨단 드론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수 있도록 국내 제조 드론에 대한 최대 이윤율(25%) 보장, 규격 변경 허용 등 드론 조달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꿨다.

민간 혁신을 정부가 구매하는 '혁신제품 공공구매'를 수요자인 국민 중심으로 개편했다.

혁신제품 수는 올해 4월 기준 1천893개로 2021년 968개보다 96% 증가했다.

혁신제품 공공구매 실적도 지난해 8천157억원으로, 2021년 4천678억원 대비 74% 증가했다.

점자 디스플레이 '닷 패드' 등 26개 혁신제품이 우수성을 인정받아 CES에서 혁신상을 받는 등 국제적으로 국내 조달기업의 성능·품질을 인정받는 성과도 창출했다.

경쟁력을 갖춘 우수 조달기업이 비좁은 국내시장을 넘어 더 큰 해외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 정책도 추진했다.

'중소·벤처·혁신기업의 벗' 조달청,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수출상담회, 해외전시회 참가, 해외 입찰 직접 지원, 해외실증 확대 등 집중적으로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한 결과 지난해 역대 최고 수준인 16억3천만달러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임기근 청장은 "조달정책의 시작과 끝을 조달 현장과 기업 체감에 둘 것"이라며 "어려울 때 가까이서 힘이 되는 중소·벤처·혁신기업의 벗으로서 공공조달이 튼튼한 성장 사다리가 되도록 활력 넘치는 역동적 조달시장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