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편 항공사 6개사, 1분기 매출 7조 돌파…하반기 수익성은 걱정
국내 항공사 6개사의 1분기 매출이 7조원을 넘어섰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해외 여행수요가 폭발한 덕분이다. 강달러와 고유가로 항공사들의 영업이익은 다소 둔화했다. 하반기에도 여행 수요는 늘어나겠지만 비용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1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 국내 항공사 6개사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총 7조120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약 6조원)보다 18.7% 증가했다. 통상 여행 비수기로 불리는 1분기 기준으로 항공사 6개사의 매출이 7조원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상장사가 아닌 이스타항공 에어서울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등은 분기 실적을 발표하지 않는다.

여행 수요에 맞춰 항공사들이 공격적으로 여객 운항을 증편하면서 올해 1분기 매출이 두자릿수 늘었다. 항공운임 상승도 매출 신장에 도움을 줬다. 일본 등 중·단거리 노선을 집중적으로 공략한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제주항공 등 저비용항공사(LCC)는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도 1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매출 최대치를 달성했다.

하지만 항공사 6개사의 1분기 영업이익은 7247억원으로 전년보다 8.7% 가량 줄어드는 등 수익성은 악화했다. 환율과 고유가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인건비, 수리비 등 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항공화물 수요가 줄어든 탓도 있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이 1분기 영업손실 312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끌어내렸다. 아시아나항공은 “항공기 장기 운영 계획에 따른 세대 교체 작업으로 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하반기다. 유가나 환율 등 대외변수가 여전히 남아있어서다. 슈퍼 엔저가 끝나면서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일본 여행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이슈 등도 불확실성을 만드는 요인 중 하나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연결 기준 연간 영업이익률은 10.73%로 전년(11.11%)보다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나항공 영업이익률도 7.32%로 전년(8.13%)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의 연간 당기순이익은 1231억원으로 전년(1343억원)보다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항공사들은 2분기부터 수익성이 높은 노선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노선도 점진적인 회복이 예상되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이날부터 유럽 첫 노선인 인천~크로아티아 자그레브 노선에 취항했고, 진에어는 7월부터 인천~필리핀 보홀 항공편을 새롭게 띄운다. 아시아나항공은 7월부터 시안 청두 다롄 등 중국 노선을 대거 증편하고, 대한항공은 9월 포르투갈 리스본 노선을 운항할 예정이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