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은행 제공
/대구은행 제공
국내 최초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이 '아이엠(iM)뱅크'라는 이름의 시중은행으로 새롭게 출범한다. 시중은행 탄생은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 만이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정례회의를 열고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인가'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시중은행은 전국적 점포망을 가진 상업은행으로, 현재 국내 4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과 외국계 은행(SC제일·한국씨티) 2곳 등 총 6곳이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은행 과점 체제를 깨기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구은행은 지난 2월 지방은행 중 유일하게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신청했다.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외부평가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인가요건에 대해 면밀히 검토를 진행했다.

인가 요건은 △자본금(자금조달방안) △대주주(주주구성 계획) △사업계획(내부통제체계 적정성 등)의 타당성 △임원 △인력·영업시설·전산설비 등의 적절성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으로 새롭게 진출하는 영업구역 중심으로 은행간 경쟁이 촉진되고, 이에 따른 소비자 후생 증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구은행은 수도권과 충청·강원 등에 향후 3년간 영업점 14개 등을 신설할 계획이다. 자체 비대면채널 고도화, 외부플랫폼과 제휴 확대 등을 통해 소비자 접근성도 개선한다. 비용을 줄여 다양한 저리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또 지방은행으로서 축적한 '관계형 금융' 노하우와 영업구역 확대에 걸맞은 리스크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중신용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에 대한 여신규모를 확대키로 했다. 지방에 본점을 둔 시중은행으로서 전환 이후에도 대구·경북권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대구은행은 2022년 마련된 '국내은행 내부통제 혁신방안'에서 국내 은행 중 가장 빠른 이행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개 과제 중 현재 19개를 이행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