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용역서 '공업용수·비상용수·연구시설' 활용 제안
2천억원 부산 해수담수화시설 10년째 멈춰…활용방안 찾기 난항
부산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이 10년째 멈춰 있지만 여전히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15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환경부는 '기장 해수담수화시설 활용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해 3가지 활용 방안에 대한 전문가 제안을 받았다.

용역 결과 보고서를 보면 해수 담수화 시설은 크게 2가지 계열로 구분된다.

하루 9천t의 용수를 생산할 수 있는 '1계열'과 하루 3만6천t을 생산할 수 있는 '2계열'로 구성된다.

전문가는 1계열의 경우 공업용수 시설로 활용하자고 제안한다.

먹는 물 대신 공업용수를 만들어 인근 고리원전이나 산업단지에 공급하자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리원전 냉각수로 2천~3천t, 기장·양산 일대 산업단지에 6천t을 공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2계열은 활용방안이 3가지로 나왔다.

첫 번째 안은 현재 시설을 개보수 해 가뭄이나 지진 등 재난 시 비상 용수를 생산하는 시설로 쓰자는 것이다.

두 번째 안은 연구개발시설로서 해수 담수화, 수전해, 해수열, 자원회수, 스마트 양식 등을 실증화하는 시설로 활용하는 안이다.

세 번째는 앞선 두 안을 섞어 비상 용수와 연구개발 목적으로 모두 활용하자는 제안이다.

문제는 이런 제안들이 현실화하는 데는 여러 가지 난관이 있다는 점이다.

우선 해수 담수화 시설로 생산한 공업용수는 생산 단가가 높다.

보고서는 공업용수 생산 시 1t당 1천694원, 원전 주변 지역 전기료 50% 할인을 받아도 1t당 1천400원이 들 것으로 봤다.

하지만 일반적인 공업용수 생산 단가는 420원에 불과해 최대 4배나 더 비싼 상황이다.

해수 담수화 시설로 생산한 공업용수에는 150원 상당의 물 이용 부담금이 없을 것으로 보여 실제 사용 금액의 차이는 조금 더 좁혀지겠지만, 그래도 단가는 여전한 부담이다.

새로운 용도로 활용하려면 시설 개선 비용도 막대하다.

보고서에는 1계열 시설 보수에 358억원, 2계열 시설 보수에 445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봤다.

부산시 관계자는 "해수 담수화 시설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환경부와 협의를 지속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면서 "전문가 제언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하고, 부서 간 협의 등을 통해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부산 해수 담수화 시설은 2014년 부산시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두산중공업 등이 '해수담수화 R&D 사업'으로 2천억원을 들여 만든 시설이다.

하지만 고리원전과 가까운 입지 탓에 이 시설에서 생산된 먹는 물 안전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면서 2015년 이후 가동이 중단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