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낙관론…"5월 코스피 2,800 간다"
최근 국내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지고, 긍정적인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코스피 지수는 2,700∼2,750 박스권에 갇혀 지루한 등락을 거듭 중이다.

증권가에서는 지수 상승을 억누르고 있는 물가, 금리, 환율 등 대외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나면 상승세가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확정 실적 기준 PBR(주가순자산비율) 1배 수준인 코스피 2,750선이 밸류에이션 분기점"이라며 "15일(현지시간)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서 (물가) 반등세 진정이 확인되면 코스피도 2,800선 돌파를 시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성노 BNK증권 연구원도 "기업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장의 주가 상승이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되면서 코스피200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9.6배로 역사적 평균치를 하회하기 시작했다"며 "밸류에이션 매력이 커지고 있어 현재와 같은 이익 전망이 유지만 되더라도 코스피 상승 여력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들어 IT(정보기술), 금융 업종의 호실적에 힘입어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들의 목표주가가 평균 10% 상향조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증권사들의 평균 목표주가가 연초보다 높아진 종목은 13일 기준 14개였다.

목표주가 상승률이 가장 큰 종목은 메리츠금융지주로 지난 1월 1일 6만9천원이었던 평균 목표주가가 현재 10만4천250원으로 51.09% 상승했다.

SK하이닉스는 연초 15만6천955원이었던 목표주가가 22만2천800원까지 올라 41.95%의 상승률을 보였고, 하나금융지주(34.89%), 신한지주(26.42%), KB금융(24.00%) 등 금융지주사들도 크게 상승했다.



금융지주사들의 목표주가 상향에는 양호한 실적뿐 아니라 정부 당국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더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펼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기아(20.96%), 삼섬생명(20.93%), 현대차(16.03%), 삼성물산(15.86%) 등도 4개월 사이에 목표주가가 크게 뛰었다.

코스피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는 평균 목표주가가 9만1천917원에서 10만3천800원으로 12.93% 상향 조정됐다.



(자료사진)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