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분석, 결과 도출…국제 학술지 '물 연구'에 실려
포항공대 연구팀 "가뭄엔 저수지서 대기 중으로 탄소 배출"
가뭄으로 수온이 높아지고 저수지 수위가 낮아지면 총유기탄소(TOC) 농도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총유기탄소는 물속에 유기물 상태로 존재하는 탄소의 총량을 가리킨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환경공학부 감종훈 교수, 박사과정 이광훈씨 연구팀이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과 수질 데이터를 분석해 극심한 가뭄이 수자원관리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3일 밝혔다.

가뭄과 홍수 등 재해가 물순환과 지구의 탄소 순환에 미칠 것이란 가설은 모델에서 증명됐으나 관측데이터를 통한 정량적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국내 2천2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에 보관된 저수량과 총유기탄소 농도를 분석해 2022년 한반도 남부에서 가뭄으로 수온이 증가하고 저수지 수위가 낮아지면 총유기탄소 농도가 증가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농업용 저수지 주변의 논·밭 면적이 넓은 지역에서는 총유기탄소 농도가 일부분 높아진다는 사실도 조사했다.

이번 연구는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면 탄소를 저장하던 저수지가 대기 중으로 탄소를 방출하는 공급원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 결과는 최근 수자원분야 국제 학술지인 '물 연구(워터 리서치)'에 실렸다.

감종훈 교수는 "수자원 빅데이터와 고급 통계기술을 이용해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물순환과 탄소순환의 정량적 변화를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며 "수량 중심에서 수량과 수질 모두 고려한 환경 및 수자원 정책 변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