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 '비명'…어쩔 수 없이 'N잡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물가상승 탓 작년 가구 소득 4.4% 늘 때 소비는 5.7%↑
높은 물가 탓에 지난해 가구의 소득보다 소비가 더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 10명 가운데 7명은 점심값에 부담을 느꼈고, 생활비를 벌기 위해 부업에 뛰어든 'N잡러'도 적지 않았다.
신한은행이 17일 공개한 '2023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20∼64세 경제활동자(근로자·자영업자 등)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득은 544만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521만원)보다 4.4%(23만원) 늘었지만, 같은 기간 가구 월평균 소비는 261만원에서 276만원으로 5.7%(15만원) 증가했다.
가구 소득에서 지출 항목별 비중은 ▲ 소비 50.7%(276만원) ▲ 부채상환 9.9%(54만원) ▲ 저축·투자 19.3%(105만원) ▲ 예비자금 20.1%(109만원)로 조사됐다.
소비 중에서는 식비(23.2%)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교통·통신비(14.5%), 월세·관리금·공과금(12.7%), 교육비(10.1%),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5.1%) 순으로 비중이 컸다.
경제활동자 중 직장인 5천명에게 따로 작년보다 올해 소비가 더 늘었냐고 묻자 38.7%가 "그렇다"고 답했다.
더구나 이들 가운데 96.1%는 이 소비 증가가 물가 상승과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68.6%의 직장인은 올해 도시락을 싸거나 약속이 없는 날 구내식당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점심값을 줄이려고 노력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점심값 절약 그룹의 68.3%는 여전히 현재 평균 점심값(6천원)이 비싸다고 인식했고, 22.6%는 5천원까지 더 줄이겠다고 밝혔다.
고물가 등 탓에 이처럼 살림이 팍팍해지자 직장인 5천명 가운데 16.9%는 2가지 이상의 직업을 가진 이른바 'N잡러'였다.
부업을 하는 이유의 61.9%는 생활비와 노후 대비 등 경제적 요소였고, 본업 외 부업의 종류는 20대와 40대의 경우 서비스직(식당·카페·편의점 등)이 가장 흔하고 30대와 50·60대에서는 각 크리에이터·블로그·유튜버 직종, 과외·강사가 1위를 차지했다.
1만 가구의 지난해 평균 보유 자산은 6억294만원으로, 2022년보다 4.8%(2천788만원) 늘어 6억원을 넘어섰다.
다만 소득 계층별 자산 증가 규모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소득 5구간(상위 20%) 고소득 계층의 자산은 평균 11억6천699만원으로 1년 사이 4천564만원 늘었지만, 같은 기간 1구간(하위 20%·1억6천130만원)과 2구간(하위 20∼40%·3억3천391만원)의 자산 증가 폭은 각 1천291만원, 1천582만원에 불과했다.
가구 자산 가운데 종류별 비중은 부동산이 79.7%로 가장 크고, 금융자산과 기타자산은 각 13.6%, 6.7%를 차지했다.
2022년과 비교해 부동산 비중(80.2→79.7%)은 소폭 줄어든 대신 금융자산(13.5→13.6%)이 늘었다.
부동산만 따로 들여다보면,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평균 4억8천35만원으로 전년보다 4.2%(1천926만원) 불었다.
열 가구 중 약 여섯 가구(64.8%)는 "부채를 갖고 있다"고 답했지만, 2022년(66.8%)보다는 부채 가구 비율이 낮아졌다.
소득 계층별로 부채 가구 비율과 상승 폭(전년 대비)은 ▲ 5구간 71.0%(-5.0%p) ▲ 4구간 74.9%(-1.1%p) ▲ 3구간 69.8%(-4.0%p) ▲ 2구간 60.0%(-4.2%p) ▲ 1구간 48.4%(+4.4%p)로 조사됐다. 소득 최하위층을 제외한 모든 계층에서 빚을 진 가구의 비중이 축소된 셈이다.
부채를 가진 가구의 평균 부채 잔액은 1억201만원으로 1년 새 7% 줄었다.
하지만 월 부채 상환액은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평균 85만원에서 93만원으로 8만원 늘었다.
'향후 1년(2024년)의 가계 생활 형편 전망'을 묻자 47.2%는 "2023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고, 30.2%는 나빠질 것으로 우려했다. 형편이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 비율은 22.6%에 불과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신한은행이 17일 공개한 '2023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20∼64세 경제활동자(근로자·자영업자 등)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득은 544만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521만원)보다 4.4%(23만원) 늘었지만, 같은 기간 가구 월평균 소비는 261만원에서 276만원으로 5.7%(15만원) 증가했다.
가구 소득에서 지출 항목별 비중은 ▲ 소비 50.7%(276만원) ▲ 부채상환 9.9%(54만원) ▲ 저축·투자 19.3%(105만원) ▲ 예비자금 20.1%(109만원)로 조사됐다.
소비 중에서는 식비(23.2%)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교통·통신비(14.5%), 월세·관리금·공과금(12.7%), 교육비(10.1%),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5.1%) 순으로 비중이 컸다.
경제활동자 중 직장인 5천명에게 따로 작년보다 올해 소비가 더 늘었냐고 묻자 38.7%가 "그렇다"고 답했다.
더구나 이들 가운데 96.1%는 이 소비 증가가 물가 상승과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68.6%의 직장인은 올해 도시락을 싸거나 약속이 없는 날 구내식당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점심값을 줄이려고 노력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점심값 절약 그룹의 68.3%는 여전히 현재 평균 점심값(6천원)이 비싸다고 인식했고, 22.6%는 5천원까지 더 줄이겠다고 밝혔다.
고물가 등 탓에 이처럼 살림이 팍팍해지자 직장인 5천명 가운데 16.9%는 2가지 이상의 직업을 가진 이른바 'N잡러'였다.
부업을 하는 이유의 61.9%는 생활비와 노후 대비 등 경제적 요소였고, 본업 외 부업의 종류는 20대와 40대의 경우 서비스직(식당·카페·편의점 등)이 가장 흔하고 30대와 50·60대에서는 각 크리에이터·블로그·유튜버 직종, 과외·강사가 1위를 차지했다.
1만 가구의 지난해 평균 보유 자산은 6억294만원으로, 2022년보다 4.8%(2천788만원) 늘어 6억원을 넘어섰다.
다만 소득 계층별 자산 증가 규모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소득 5구간(상위 20%) 고소득 계층의 자산은 평균 11억6천699만원으로 1년 사이 4천564만원 늘었지만, 같은 기간 1구간(하위 20%·1억6천130만원)과 2구간(하위 20∼40%·3억3천391만원)의 자산 증가 폭은 각 1천291만원, 1천582만원에 불과했다.
가구 자산 가운데 종류별 비중은 부동산이 79.7%로 가장 크고, 금융자산과 기타자산은 각 13.6%, 6.7%를 차지했다.
2022년과 비교해 부동산 비중(80.2→79.7%)은 소폭 줄어든 대신 금융자산(13.5→13.6%)이 늘었다.
부동산만 따로 들여다보면,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평균 4억8천35만원으로 전년보다 4.2%(1천926만원) 불었다.
열 가구 중 약 여섯 가구(64.8%)는 "부채를 갖고 있다"고 답했지만, 2022년(66.8%)보다는 부채 가구 비율이 낮아졌다.
소득 계층별로 부채 가구 비율과 상승 폭(전년 대비)은 ▲ 5구간 71.0%(-5.0%p) ▲ 4구간 74.9%(-1.1%p) ▲ 3구간 69.8%(-4.0%p) ▲ 2구간 60.0%(-4.2%p) ▲ 1구간 48.4%(+4.4%p)로 조사됐다. 소득 최하위층을 제외한 모든 계층에서 빚을 진 가구의 비중이 축소된 셈이다.
부채를 가진 가구의 평균 부채 잔액은 1억201만원으로 1년 새 7% 줄었다.
하지만 월 부채 상환액은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평균 85만원에서 93만원으로 8만원 늘었다.
'향후 1년(2024년)의 가계 생활 형편 전망'을 묻자 47.2%는 "2023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고, 30.2%는 나빠질 것으로 우려했다. 형편이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 비율은 22.6%에 불과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