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증시 거품' 경고음 잇따라…투자전문가 61% "위험관리" 조언(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 300명 설문…91%, 점진적 금리인하 선호·61%, 2차례 인하 전망
JP모건·골드만삭스, 조정 임박 경고…CNN "'버핏 지표' 약세 전환 신호"
골드만, 인도와 일본 주목 권고…대형주 대비 소형주 상승 부진 연일 사상 최고를 경신하고 있는 미국 증시에서 '거품' 경고음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주식전략가 등 투자전문가들이 2분기 약세 전환을 우려하고 주요 투자은행(IB)인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조정이 임박했다고 경고하면서 투자자산과 투자지역 다변화 등 위험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이 가장 좋아하는 이른바 '버핏 지표'에서도 거품 우려로 시장이 약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경고등이 켜진 만큼 향후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 전문가·주요 투자은행 "약세 전환 가까워져…조정 임박"
27일(현지시간) 미 CNBC방송은 미 금융기관 최고투자책임자(CIO), 주식전략가, 포트폴리오 매니저 등 300명을 대상으로 한 분기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1%가 2분기로 넘어가면서 주식시장이 너무 빠르게 상승해 약세 전환이 가까워졌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올해 들어 지금까지 10% 이상 상승해 2019년 이후 가장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으나 단지 39%만이 추가 상승 여지가 있는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응답자의 9% 만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즉시 금리인하를 시작해야 한다고 답했으나 91%는 점진적인 인하를 선호했다.
61%와 13%는 각각 올해 금리인하가 2회와 1회만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3회 금리인하를 예측한 응답자는 26%에 그쳤다.
이와 함께 내년에 경기침체가 닥칠 것이라고 답한 경우가 52%나 됐으며 이는 지난해 4분기 조사 당시의 23%에서 크게 늘었다.
JP모건의 글로벌 증시 수석 전략가인 두브라브코 라코스-부하스는 이날 고객에게 보내는 메모에서 가장 높은 상승을 보인 종목들에 과도하게 몰리는 것은 조정이 임박했다는 것이라며 포트폴리오내 보유자산을 다양화하는 등 위험 관리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그는 "조정은 어느 날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다"며 "과거에도 이런 적이 있었으며, 우리는 급락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실적과 연준에 대한 (금리인하) 기대 등 모든 호재가 가격에 반영됐다"면서 "엔비디아 실적과 인공지능(AI) 혁신 전망 등 깜짝 상승 재료는 점점 줄어드는 대신 반대편에 더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GSAM)도 미국 거시경제적 상황을 고려할 때 미국 증시의 상승 여력이 제한적인 만큼 투자자들은 다른 곳에서 더 나은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CNBC는 전했다.
GSAM의 제임스 애슐리 국제 시장 전략 책임자는 CNBC와 인터뷰에서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의 압력으로 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서겠지만 이는 이미 대부분 가격에 반영돼 있어 최근 강세가 막바지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애슐리 책임자는 "현재 미국 주식들의 가치가 상당히 높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들의 밸류에이션(가치평가)에는 상승 여력이 제한돼 있다"면서 "다른 시장에 더 좋은 기회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GSAM은 신흥시장에서는 두 자릿수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기대되는 인도, 선진시장에서는 17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 인상에 나서는 등 중요한 통화정책 변화를 보인 일본이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전망했다.
◇ 심상치 않은 '버핏 지표'…"거품의 초입에 있다"
시장 지표도 심상치 않은 징후를 나타내고 있다.
CNN은 버핏이 가장 좋아했던 시장지표가 2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향후 시장이 약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버핏 지표'로 유명한 이 지표는 모든 상장기업의 총가치(윌셔5000지수로 측정)를 전 분기 GDP 추정치로 나눈 것이다.
경제 규모 대비 미국 주식시장 총규모로 측정한 이 수치가 100%이면 적정, 70%에 가까우면 저평가, 200%에 가까우면 고평가로 본다.
이 지표는 현재 190%에 가까운 상태이며, 이와 유사한 상황이었던 2022년에 이 지표가 211%를 기록한 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19% 하락했었다.
실제로 올해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엔비디아와 같은 반도체 주식이 사상 최고를 기록하면서 증시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들어 시장에서 거품 우려도 커지고 있다.
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최소한 거품의 산기슭 즉, 초입에 있는 것이 확실하다"고 말했으며 미 자산운용사 나벨리에의 창업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 루이스 나벨리에도 "시장이 과열 상태이지만 투자자들은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에서 탄력적인 기업이익과 AI에 대한 열망,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 등으로 낙관적인 시각이 확산하면서 미국 증시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기업이익이 투자자들의 낙관론을 따라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고 전했다.
CBIZ 투자자문의 애나 라스번 CIO는 WSJ에 "펀더멘털이 따라가지 못하면 모멘텀은 매우 빠르게 반전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JP모건·골드만삭스, 조정 임박 경고…CNN "'버핏 지표' 약세 전환 신호"
골드만, 인도와 일본 주목 권고…대형주 대비 소형주 상승 부진 연일 사상 최고를 경신하고 있는 미국 증시에서 '거품' 경고음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주식전략가 등 투자전문가들이 2분기 약세 전환을 우려하고 주요 투자은행(IB)인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조정이 임박했다고 경고하면서 투자자산과 투자지역 다변화 등 위험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이 가장 좋아하는 이른바 '버핏 지표'에서도 거품 우려로 시장이 약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경고등이 켜진 만큼 향후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 전문가·주요 투자은행 "약세 전환 가까워져…조정 임박"
27일(현지시간) 미 CNBC방송은 미 금융기관 최고투자책임자(CIO), 주식전략가, 포트폴리오 매니저 등 300명을 대상으로 한 분기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1%가 2분기로 넘어가면서 주식시장이 너무 빠르게 상승해 약세 전환이 가까워졌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올해 들어 지금까지 10% 이상 상승해 2019년 이후 가장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으나 단지 39%만이 추가 상승 여지가 있는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응답자의 9% 만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즉시 금리인하를 시작해야 한다고 답했으나 91%는 점진적인 인하를 선호했다.
61%와 13%는 각각 올해 금리인하가 2회와 1회만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3회 금리인하를 예측한 응답자는 26%에 그쳤다.
이와 함께 내년에 경기침체가 닥칠 것이라고 답한 경우가 52%나 됐으며 이는 지난해 4분기 조사 당시의 23%에서 크게 늘었다.
JP모건의 글로벌 증시 수석 전략가인 두브라브코 라코스-부하스는 이날 고객에게 보내는 메모에서 가장 높은 상승을 보인 종목들에 과도하게 몰리는 것은 조정이 임박했다는 것이라며 포트폴리오내 보유자산을 다양화하는 등 위험 관리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그는 "조정은 어느 날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다"며 "과거에도 이런 적이 있었으며, 우리는 급락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실적과 연준에 대한 (금리인하) 기대 등 모든 호재가 가격에 반영됐다"면서 "엔비디아 실적과 인공지능(AI) 혁신 전망 등 깜짝 상승 재료는 점점 줄어드는 대신 반대편에 더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GSAM)도 미국 거시경제적 상황을 고려할 때 미국 증시의 상승 여력이 제한적인 만큼 투자자들은 다른 곳에서 더 나은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CNBC는 전했다.
GSAM의 제임스 애슐리 국제 시장 전략 책임자는 CNBC와 인터뷰에서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의 압력으로 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서겠지만 이는 이미 대부분 가격에 반영돼 있어 최근 강세가 막바지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애슐리 책임자는 "현재 미국 주식들의 가치가 상당히 높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들의 밸류에이션(가치평가)에는 상승 여력이 제한돼 있다"면서 "다른 시장에 더 좋은 기회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GSAM은 신흥시장에서는 두 자릿수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기대되는 인도, 선진시장에서는 17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 인상에 나서는 등 중요한 통화정책 변화를 보인 일본이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전망했다.
◇ 심상치 않은 '버핏 지표'…"거품의 초입에 있다"
시장 지표도 심상치 않은 징후를 나타내고 있다.
CNN은 버핏이 가장 좋아했던 시장지표가 2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향후 시장이 약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버핏 지표'로 유명한 이 지표는 모든 상장기업의 총가치(윌셔5000지수로 측정)를 전 분기 GDP 추정치로 나눈 것이다.
경제 규모 대비 미국 주식시장 총규모로 측정한 이 수치가 100%이면 적정, 70%에 가까우면 저평가, 200%에 가까우면 고평가로 본다.
이 지표는 현재 190%에 가까운 상태이며, 이와 유사한 상황이었던 2022년에 이 지표가 211%를 기록한 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19% 하락했었다.
실제로 올해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엔비디아와 같은 반도체 주식이 사상 최고를 기록하면서 증시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들어 시장에서 거품 우려도 커지고 있다.
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최소한 거품의 산기슭 즉, 초입에 있는 것이 확실하다"고 말했으며 미 자산운용사 나벨리에의 창업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 루이스 나벨리에도 "시장이 과열 상태이지만 투자자들은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에서 탄력적인 기업이익과 AI에 대한 열망,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 등으로 낙관적인 시각이 확산하면서 미국 증시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기업이익이 투자자들의 낙관론을 따라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고 전했다.
CBIZ 투자자문의 애나 라스번 CIO는 WSJ에 "펀더멘털이 따라가지 못하면 모멘텀은 매우 빠르게 반전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