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파묘' 스틸컷 /사진=쇼박스
영화 '파묘' 스틸컷 /사진=쇼박스
천만 관객을 앞둔 영화 '파묘' 덕에 극장가가 활기를 찾았다. 지난해 '서울의 봄' 이후 주춤했던 발걸음이 늘면서 충무로에도 봄바람이 불고 있다.

장재현 감독의 작품 '파묘'는 22일 오후 3시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 기준 누적 관객 수 951만을 돌파했다. 이 추세라면 이번 주 일요일인 24일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는 '서울의 봄' 이후 4개월 만이자, 올해 첫 천만 영화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 2월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오컬트 장르인 '파묘' 뿐만 아니라 뮤지컬 '웡카', 코미디 '시민덕희', 다큐멘터리 '건국전쟁' 등 다양한 장르 영화가 흥행하며 이달 전체 매출액이 크게 늘었고 관객층도 다양해 지며 극장가에 활력이 되살아났다는 분석이다.

한국 영화 매출액과 관객 수는 코로나 이전을 꿈꿀 만큼 매우 증가했다. 지난달 극장을 찾은 전체 관객 수는 1146만 명으로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7∼2019년 평균 관객 수(1767만명)의 64.8% 수준까지 회복한 수치다.

매출액 역시 1458억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0.1%(415억원) 상승해 코로나19 이전 매출액 평균(1458억원)의 75.8% 수준으로 회복했다.
사진=뉴스1
사진=뉴스1
/표=영화진흥위원회
/표=영화진흥위원회
'파묘', '시민덕희'의 쌍끌이 흥행에 더불어 '건국전쟁', '소풍' 등의 저예산 영화가 나와 젊은 관객부터 장·노년층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관객이 극장 나들이를 했다.

영진위는 현장 발권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장·노년층 관객의 특성을 고려하면 해당 연령층의 실제 관객 비중은 더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참신하고 다양한 소재와 도전적인 장르물까지 풍성해진 2월의 극장은 MZ 세대부터 장·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엔데믹 시대 관객층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를 볼 수 있었다.

손익분기점 330만인 '파묘'는 이달 매출액만 351억원이었다. 2월 전체 매출액의 3분의 1, 한국 영화 매출액의 절반이었다. 배급사인 쇼박스도 '파묘', '시민덕희' 두 편으로 매출액 점유율 40.7%, 이달 배급사 순위 1위에 올랐다.

업계는 '파묘' 이후의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서울의 봄'도 메가 히트를 했으나 나홀로 체제를 고수했기 때문이다.

극장가 비수기로 꼽히는 4월, 최근 가장 핫한 배우 손석구가 출연한 '댓글부대'와 믿고 보는 '범죄도시4'가 온다.

오는 27일 개봉하는 '댓글부대'는 기업에 대한 기사를 쓴 후 정직당한 기자 임상진에게 온라인 여론을 조작했다는 익명의 제보자가 나타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를 통해 충무로 차세대 감독으로 주목받은 안국진 감독의 신작으로 주변에서 들어 봤지만, 그 누구도 확인한 적 없는 실체가 없는 '온라인 여론 조작'을 소재로 했다.

'범죄도시4'는 4월 24일 개봉 예정이다. 괴물형사 마석도가 대규모 온라인 불법 도박 조직을 움직이는 특수부대 용병 출신 빌런 백창기와 IT 업계 천재 CEO 장동철에 맞서는 이야기를 담았다. 이 작품은 지난 2월 베를린국제영화제에 한국 시리즈 영화 최초로 초청돼 현지 관객들로부터 호평받았다. 마동석은 "내부 시사 결과 역대 최고 평점을 받았다"고 귀띔해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범죄도시4', '댓글부대' 스틸컷
'범죄도시4', '댓글부대' 스틸컷
한 배급사 관계자는 "극장에서 영화를 소비하는 관객의 습관이 코로나 전과 팬데믹, 엔데믹 때가 다 달라 성향을 분석하기 어렵다"며 "큰 작품이라거나 단순히 캐스팅이 좋다거나, 유명한 감독이라는 이유로 영화를 보는 것 같지 않다"고 언급했다.

이어 "동영상 플랫폼(OTT)가 일상화된 지금, 요즘 관객들은 극장에서 봐야 하는 작품이 나오면 극장을 찾는 것 같다"며 "내 돈을 주고 볼만한 작품이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극장 관계자는 "한국 관객들의 눈이 다시 한번 높아진 것 같다"며 "다양한 장르의 영화랄 극장이 아니더라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시대가 됐기에 더 좋은 시나리오와 기획으로 영화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