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 내려앉아 양치할 때마다 시큰시큰…중장년층 괴롭히는 '치은퇴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구강 위생상태 안 좋아 발병
과도한 칫솔질·이갈이도 원인
잇몸성형술·이식술로 치료
과도한 칫솔질·이갈이도 원인
잇몸성형술·이식술로 치료
눈에 띄게 내려앉은 잇몸 때문에 고민하는 중장년층이 많다. 잇몸이 내려앉아 치아 뿌리가 노출되면 양치할 때마다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호소한다. 시린니 증상도 심해진다. 미관상 좋지 않아 웃거나 말을 할 때 불편을 호소하기도 한다.
김윤정 관악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는 “잇몸 조직이 소실돼 치아 뿌리 방향으로 치아와 치은 부착 부위가 이동하는 현상을 치은퇴축(잇몸퇴축)이라고 한다”며 “지나치게 단단한 칫솔모를 활용해 잇솔질을 하거나 이갈이 등의 나쁜 습관이 있으면 잇몸퇴축을 촉진할 수 있다”고 했다.
치은퇴축은 구강위생 상태가 좋지 않아 생기는 치주질환 중 하나다. 대개 치아와 잇몸 사이 틈새인 치은열구 안에 세균성 치태가 쌓이면서 잇몸에 염증이 시작된다. 이때 아래쪽에 있는 잇몸뼈인 치조골이 녹게 되고 잇몸도 따라 내려간다.
치주질환으로 알려진 잇몸병은 주로 중장년층과 노년층에 흔하다. 잇몸 조직까지 소실되는 것은 대부분 고연령대에 많은 질환이다. 하지만 치아 등에 외상이 생기면 젊은 층도 치주조직이 얇은 부위부터 잇몸퇴축이 생기기도 한다. 치아 뿌리 만곡도에 따라 치아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런 구조적인 형태도 원인이 된다. 치아는 위·아래가 맞닿아야 한다. 맞닿은 치아가 없으면 치아가 솟아나고 이 때문에 잇몸퇴축이 생기기도 한다.
잇몸이 치아 뿌리 방향으로 내려가 치아 뿌리(치근)가 노출되면 차고 뜨거운 자극에 민감해진다. 치아 사이 공간이 넓어지면 식사할 때 음식물이 자주 끼게 된다. 노출된 치근면이나 인접면에 충치가 생기기도 한다. 김 교수는 “치아 사이가 벌어져 평소보다 음식이 많이 끼거나 앞니 뿌리가 이전보다 많이 보이고 치아가 길어진 것 같이 느껴진다면 잇몸 점검을 받아봐야 한다”고 했다.
잇몸퇴축은 퇴축된 부분 아래나 옆쪽의 잇몸을 이동시키는 잇몸성형술, 잇몸이식술 등으로 치료한다. 입천장 쪽에서 이식할 조직을 채취한 뒤 퇴축된 부위를 떼어낸 조직으로 덮는 방식으로 잇몸이식술이 진행된다. 노출된 치아 뿌리가 덮어 잇몸 높이와 부피를 회복하는 방식이다. 치주질환 탓에 치조골이 많이 소실돼 잇몸퇴축이 생겼다면 수술 전에 치주치료도 받아야 한다.
한 번 잇몸이 내려앉으면 수술 등의 방법 말고는 이렇다 할 해결책이 없다. 심미적 문제뿐 아니라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도 많다. 잇몸퇴축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 잇몸퇴축 예방에 가장 중요한 것은 구강 위생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잇몸 질환이 심각해지기 전에 치과를 찾아 염증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김 교수는 “모가 부드러운 칫솔을 활용해 규칙적으로 올바르게 칫솔질해야 한다”며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고 스케일링을 받아 구석구석에 남아있는 치태와 치석도 제거해야 한다”고 했다.
자신의 치아 상태를 잘 아는 것도 중요하다. 그는 “치아 교합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가는 등의 나쁜 습관이 있다면 의료진으로부터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퇴축부위는 치조골이 소실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기 전에 잇몸이식술을 받아야 하는 만큼 증상 초기 의료진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김윤정 관악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는 “잇몸 조직이 소실돼 치아 뿌리 방향으로 치아와 치은 부착 부위가 이동하는 현상을 치은퇴축(잇몸퇴축)이라고 한다”며 “지나치게 단단한 칫솔모를 활용해 잇솔질을 하거나 이갈이 등의 나쁜 습관이 있으면 잇몸퇴축을 촉진할 수 있다”고 했다.
치은퇴축은 구강위생 상태가 좋지 않아 생기는 치주질환 중 하나다. 대개 치아와 잇몸 사이 틈새인 치은열구 안에 세균성 치태가 쌓이면서 잇몸에 염증이 시작된다. 이때 아래쪽에 있는 잇몸뼈인 치조골이 녹게 되고 잇몸도 따라 내려간다.
치주질환으로 알려진 잇몸병은 주로 중장년층과 노년층에 흔하다. 잇몸 조직까지 소실되는 것은 대부분 고연령대에 많은 질환이다. 하지만 치아 등에 외상이 생기면 젊은 층도 치주조직이 얇은 부위부터 잇몸퇴축이 생기기도 한다. 치아 뿌리 만곡도에 따라 치아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런 구조적인 형태도 원인이 된다. 치아는 위·아래가 맞닿아야 한다. 맞닿은 치아가 없으면 치아가 솟아나고 이 때문에 잇몸퇴축이 생기기도 한다.
잇몸이 치아 뿌리 방향으로 내려가 치아 뿌리(치근)가 노출되면 차고 뜨거운 자극에 민감해진다. 치아 사이 공간이 넓어지면 식사할 때 음식물이 자주 끼게 된다. 노출된 치근면이나 인접면에 충치가 생기기도 한다. 김 교수는 “치아 사이가 벌어져 평소보다 음식이 많이 끼거나 앞니 뿌리가 이전보다 많이 보이고 치아가 길어진 것 같이 느껴진다면 잇몸 점검을 받아봐야 한다”고 했다.
잇몸퇴축은 퇴축된 부분 아래나 옆쪽의 잇몸을 이동시키는 잇몸성형술, 잇몸이식술 등으로 치료한다. 입천장 쪽에서 이식할 조직을 채취한 뒤 퇴축된 부위를 떼어낸 조직으로 덮는 방식으로 잇몸이식술이 진행된다. 노출된 치아 뿌리가 덮어 잇몸 높이와 부피를 회복하는 방식이다. 치주질환 탓에 치조골이 많이 소실돼 잇몸퇴축이 생겼다면 수술 전에 치주치료도 받아야 한다.
한 번 잇몸이 내려앉으면 수술 등의 방법 말고는 이렇다 할 해결책이 없다. 심미적 문제뿐 아니라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도 많다. 잇몸퇴축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 잇몸퇴축 예방에 가장 중요한 것은 구강 위생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잇몸 질환이 심각해지기 전에 치과를 찾아 염증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김 교수는 “모가 부드러운 칫솔을 활용해 규칙적으로 올바르게 칫솔질해야 한다”며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고 스케일링을 받아 구석구석에 남아있는 치태와 치석도 제거해야 한다”고 했다.
자신의 치아 상태를 잘 아는 것도 중요하다. 그는 “치아 교합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가는 등의 나쁜 습관이 있다면 의료진으로부터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퇴축부위는 치조골이 소실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기 전에 잇몸이식술을 받아야 하는 만큼 증상 초기 의료진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